![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플라스틱 등 일회용 용기의 배출이 급증했다. 지난 2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재활용센터에 폐기물이 쌓여있는 모습.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9/24/a465eed1-65c3-459a-b241-79230116a4f8.jp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플라스틱 등 일회용 용기의 배출이 급증했다. 지난 2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재활용센터에 폐기물이 쌓여있는 모습. [뉴스1]
코로나로 폐플라스틱 16% 늘어
재활용 역부족, 생분해 필요성
국내 인증등급 적고 절차 복잡
연구 기업들, 시장 확대 어려움

글로벌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 전망.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세계적인 대안으로 떠오르는 게 바이오 플라스틱에 속하는 ‘생분해 플라스틱’이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흙이나 바닷물에서 분해되는 ‘생분해 플라스틱’과, 썩지는 않지만 옥수수나 사탕수수 등 자연소재로 만든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으로 나뉜다. 일례로 스타벅스에서 바나나 포장재로 사용하는 얇은 비닐이 폴리락틱산(PLA)라고 불리는 미국산 생분해 플라스틱이다. 독일 화학기업 바스프는 3~4개월이면 땅에서 분해되는 농업용 비닐을 만들었는데 전남·강원·충북·경기 등 농가에서 쓰인다.

생분해도 등급.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특히 주요 선진국들은 땅은 물론 바닷물에서도 6개월이면 90% 이상 분해되는 해양 생분해 플라스틱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글로벌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은 2018년 30억 달러(약 3조5000억원)에서 2023년 61억 달러(약 7조1000억원)로 연평균 15.1% 고성장할 전망이다.

생분해 플라스틱 인증 비교.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담당하는 인증절차도 복잡하다. 생분해 플라스틱을 만드는 공장 부지가 없으면 인증 신청 자체를 할 수 없다. 익명을 원한 바이오사업 관계자는 “미국과 독일, 일본 등에선 다수의 민간 기관이 인증을 담당하고, 샘플만 보내 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인증을 받을 수 있다”며 “한국은 제출해야 하는 서류도 3~4배 이상 많고, 기간도 해외(약 6~9개월)보다 9~18개월로 오래 걸린다”고 말했다.
이소아 기자 ls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