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aseokim@joongang.co.kr
“탕탕탕!”
굵은 기관총 실탄은 발뒤꿈치를 노렸다. 잔가지가 얼굴을 따갑게 치며 눈을 찔렀다. 탕탕탕! 푹-! 등 뒤에서 바짝 들리던 동료의 거친 숨소리가 멈췄다. 그 순간 힘이 풀린 다리를 잔뿌리가 감아챘다. 누군지 궁금했지만 되돌아볼 엄두를 못 냈다. 그저 언제 내 발목도 날아갈지 모른다는 공포심에 죽자사자 등성이를 향해 내달렸다. 머릿속엔 ‘한 발만 늦으면 나도 죽는다’는 두려움뿐이었다.
[그날의 총성을 찾아…실미도 50년⑤]가혹행위로 얼룩진 훈련
'68년 5월: 지옥의 문 열린 실미도!
“몽둥이찜질과 주먹질, 발길질 등을 당해 공작원들은 거의 다 골병이 들었습니다. 훈련을 못 한다는 이유로 인간 이하의 대우를 받고 기합 또는 폭행을 당했습니다. ”(김병염 공작원 등 재판기록)
“제식 훈련을 할 때 발만 틀려도 침대봉으로 머리를 폭행했습니다. 한 대만 내리쳐도 머리가 갈라져 피가 흘렀고 의무병이 꿰맸습니다.”(기간병 김모씨·2005년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면담)

2003년 5월 1일 찾은 실미도의 영화 세트장. 현재는 철거된 상태다. 중앙포토
공작원에겐 가혹행위, 기관병도 구타당해
“메밀을 수확하다 공작원 2명이 손을 뒤로 묶인 채 발길질을 당하면서 잡혀가는 걸 봤습니다. 넘어졌다가 일어서려고 하면 또 발로 차고 때리고 하는 걸 본 동네 부녀자들은 ‘군대 간 아들이 생각난다’며 모두 울었습니다.”(무의도 주민 윤모씨·2005년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 면담)
산악구보·폭파·위장·해상침투…반복 또 반복
실미도 공작원의 하루는 오전 4시 30분 시작됐다. 기상과 함께 구보와 PT 체조를 했다. 오전 8시부터 구보, 줄타기, 산악행군 등이 오후 5시까지 이어졌다. 오후 6시 10분부터는 정신 무장이나 북한 위장 행동 요령 같은 내무반 교육이 9시 30분까지 계속됐다. 10시 취침. 국방부가 1971년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1968년 5월 10일 입소 이후 12주간 총 14과목, 520시간의 교육이 진행됐다. 이 중 사격이 150시간으로 가장 많았다. 종합훈련(63시간), 폭파(44시간), 산악훈련(48시간) 등이었다. 북파 공작 시 위장을 위한 인민군식 제식훈련도 포함돼 있다.
“공작원들은 카빈총 1정과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 1정을 받아 썼습니다. 평소 훈련 때는 북한군같이 자동소총을 사용하고 비상시에만 국군처럼 카빈총을 썼습니다. 북한에 침투해 인민군으로 위장하고 싸울 때 그들이 쓰는 총기에 익숙해지기 위해서입니다.”(임성빈 공작원· 재판기록)

영화 ‘실미도’ 세트장. 중앙포토
개밥 훔쳐 먹고 뱀 잡아 배 채워
“입대 후 1개월 동안은 쌀밥에다 쇠고깃국, 계란도 한 개씩 줬습니다. 그 후부터는 고깃국은 없었고 된장국이나 소금국에 보리밥을 줬습니다. 1970년 8월쯤부터는 수제비 또는 보리밥, 소금국 등으로 더 나빠졌습니다. 1971년 7월쯤부터는 밀밥만 나왔고요.”(이서천 공작원 재판기록)
‘김신조 부대’ 뛰어넘는 ‘인간병기’ 완성
실미도에서 열악한 처우에 시달리면서도 지옥훈련을 이겨낸 공작원들의 자신감은 하늘을 찔렀다. 북한에 침투해 ‘김일성 모가지를 딸 날’이 머지않았다고 기대했다. 드디어 1969년 10월 실미도 부대는 북한을 향해 출발한다. 다음회에 계속.
그런데 어느 날 아들 1명(5살 추정)이 실미도 부대 초소에 놀러갔다가 초병 김모씨에게 “총을 보여달라”고 하면서 장난을 쳤다. 이 과정에서 총이 의도치 않게 발사됐고, 아이는 머리에 총알을 맞아 즉사했다. 이후 군은 유가족에게 쌀 8가마를 주며 합의했고, 가족은 다른 곳으로 이주했다.
3년가량 뒤 실미도 부대가 비극적인 최후를 맞으면서 섬은 무인도로 남겨졌다.
심석용·김민중 기자 shim.seokyong@joongang.co.kr
〈지난 기사〉
①50년 전 울린 총성의 진실은?…마침표 못 찍은 ‘실미도’
②시민 탄 버스에서 총격전···결국 수류탄 터트린 실미도 그들
③실미도 부대 만든 그 말…“박정희 목 따러 왔다”
④실미도 31명은 사형수? 수리공·요리사등 평범한 청년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