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단체, 방통위에 진정서
구글도 결제액 30% 수수료 추진
카드 수수료보다 최고 30배 비싸
스타트업 “독과점 사업자의 횡포”
공정위·방통위 “수수료 살펴볼 것”

구글·애플이 장악한 국내 앱 시장.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런데 구글은 지난달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콘텐트 사업자에게 수수료 정책을 변경한다고 알렸다. 게임이 아닌 콘텐트 앱에도 수수료 30%를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콘텐트 앱 중에도 멜론·지니 같은 음원 업체는 상대적으로 타격이 작다. 소비자가 PC로 인터넷 홈페이지에 들어가 결제한 뒤 앱에서 로그인해도 되기 때문이다.
모바일 기반의 스타트업에겐 이런 ‘딴 길’이 없다. 꼼짝없이 결제금액의 30%를 내야 할 판이다. 신용카드 결제 수수료 등과 비교하면 4~30배 비싸다는 게 코스포의 설명이다. 최성진 코스포 대표는 “협상력이 있는 큰 기업보다 중소 개발사와 스타트업에 치명적”이라고 말했다. 콘텐트 업체 관계자는 “구글의 (수수료) 정책이 확정되면 소비자 가격의 인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구글은 플레이스토어의 보안·인프라 투자에 수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앱 마켓별 주요 콘텐트 구독료.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해외에서도 앱 자릿세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있다. 온라인 게임 포트나이트의 제작사인 에픽게임즈는 지난 13일 ‘에픽 다이렉트 페이’라는 자체 결제 방식을 선보였다. 소비자가 이 방식으로 결제하면 20%를 깎아준다. ‘샛길을 냈으니 여기로 오라’는 식이다. 포트나이트는 전 세계 이용자가 3억5000만 명에 이른다.
그러자 구글·애플은 포트나이트 앱을 각각 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에서 삭제했다. 에픽게임즈는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구글·애플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냈다.
국내에서도 법적 분쟁이 예고됐다. 법률 플랫폼 ‘화난사람들’은 지난달 “애플·구글의 결제 수수료 정책 피해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독과점 사업자의 횡포로 공정위에 심판을 청구하겠다는 계획이다. 최초롱 화난사람들 대표는 “스타트업들이 ‘생존이 걸린 문제’라고 도움을 요청해 (피해자 모집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심서현·정원엽 기자 shshi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