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속된 옵티머스자산운용 대표는 투자금 가운데 수백억원을 개인 계좌로 빼돌려 주식 등에 넣었다가 대부분 잃은 것으로 드러났다. 옵티머스운용과 판매사들이 투자자들을 모으며 광고했던 '공공기관 매출채권 투자'는 알고보니 단 한 번도 없었다. 이날 새롭게 알려진 사실 4가지를 정리했다.
①대표는 수백억원 빼돌려 주식·선물옵션 매매

지난 15일 서울 강남구 옵티머스자산운용 사무실 앞에서 취재진이 사무실 입구를 촬영하고 있다. 정용환 기자
최원우 금감원 자산운용검사국장은 "김재현 대표가 개인적으로 어떻게 자금을 사용했는지는 검사 과정에서 일부 확인이 됐고, 주식이나 파생상품 거래 외에도 부동산에도 개인적으로 유용한 사항도 있었다"며 "실제로 김재현 대표가 그런 과정들에 개입한 건 2018년 이후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②60여곳으로 흩뿌려진 투자금...회수 가능성 작다

옵티머스펀드 자금흐름. 금융감독원
문제는 사모사채를 통해 이들 회사로 흘러들어간 자금이 신뢰성이 낮은 부동산 개발·상장주식·비상장주식·대여 등에 쓰였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금감원이 파악한 자금 사용처는 약 60개, 3000억원 내외 수준이다. 이것 역시 옵티머스운용 임원이 제출한 자료에 근거한 것이라서 금액이 부풀려졌을 가능성이 크고, 권리관계가 불투명한 자산이 다수다. 금감원은 이 자금의 회수 가능성을 작게 보고 있다.
김동회 금융감독원 금융투자 부원장보는 "투자된 자산에 대한 실재성을 확인, 투자된 자산의 손실 여부, 금액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상당부분이 회수가 상당히 어렵거나 가치가 낮은 것으로 파악이 되고, 실제로 투자된 금액이 그쪽(투자처)에서 어떻게 유용됐는지에 대해선 깊게 파고들기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③공공기관 매출채권 투자, 처음부터 없었다
![옵티머스 자산운용이 2017년 6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 제출한 투자 상품 설명서 표지. [미래통합당 윤창현 의원실 제공]](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7/23/be297143-adef-4f65-b351-6720462d0a56.jpg)
옵티머스 자산운용이 2017년 6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 제출한 투자 상품 설명서 표지. [미래통합당 윤창현 의원실 제공]
그러나 금감원 검사 결과 옵티머스운용이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 적은 여태 단 한번도 없었다. 최 국장은 "우리가 확인한 바로는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 사실은 없다"면서 다만 "2017년 하반기 2018년 초 공공기관 매출채권을 이용해서 뭔가 상품을 만들어보려고 한 시도가 초창기 아이디어 차원에서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고 말했다.

미래통합당 소속 조해진 의원실이 확보한 하나은행과 한 공공기관 발주사업 하도급 업체(이하 도급사) 간 매출채권 양수도 계약서. 이 계약서는 옵티머스운용 측이 만들어낸 가짜다. 조해진 의원실
④2018년 옵티머스 주시한 4개 기관, 공조는 없었다
![옵티머스 자산운용에 748억 원을 투자한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 대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감사 결과 보고서. [미래통합당 강민국 의원실 제공]](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7/23/fd720bcd-b50e-4065-9bf2-9aeb1b455b3b.jpg)
옵티머스 자산운용에 748억 원을 투자한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 대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감사 결과 보고서. [미래통합당 강민국 의원실 제공]
전파진흥원은 이에 당시 투자 결정을 내렸던 임직원들에 경징계를 내리는 한편 그해 10월 서울중앙지검에 옵티머스운용 김 대표 등을 수사의뢰했다. 수사의뢰서에서 전파진흥원은 "결과적으로 국가의 공적기금이 불법행위의 도구로 사용됐을 가능성이 짙다"고 우려를 표했다.

금융감독원. 연합뉴스
하지만 비슷한 시기 옵티머스운용을 들여다본 4개 기관 간 공조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각종 사기와 불법으로 곪아 최근에야 터진 옵티머스 사태를 조기에 포착해 조치할 기회를 놓친 것이다.
최 국장은 "그때(2018년) 당시 전파진흥원에서 감독원 쪽에 정보를 제공한 사항은 없었다"며 "알고 있기론 과기부 검사가 진행된 이후에 관련 내용을 검찰에 알린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용환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