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신고 및 공개 의무가 있는 1급 이상 행정부 고위공직자 774명 중 224명(28.9%)이 집을 1채보다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6개월 내 고위직에 오른 행정부 97명 중 36명(37%)이 다주택자였다.중앙일보가 올해 3~6월 대한민국 관보에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을 분석한 결과다. 공직자 본인과 배우자 명의의 주택만 셌고, 지분 보유분도 반올림 없이 1.5채로 소수점 그대로 집계했다.

다주택 고위공직자 비율 높은 부처.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아무리 '팔라' 해도...
다주택 고위직 비율이 가장 높은 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였다. 42명 중 22명이 다주택자(52.4%)다. 해양수산부도 다주택자가 21명 중 10명(47.6%)이었다. 중소벤처기업부(41.67%), 농림축산식품부(41.18%), 환경부(38.46%)가 뒤를 이었다.
부동산 정책을 주관하는 국토교통부는 36명 중 9명이 다주택자로 비율은 25%였다. 타 경제 부처로는 기획재정부 소속 고위직 31.25%,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32.81%, 금융위원회는 17.24%가 다주택자였다.
다주택자 비율 낮은 부처는 통일부(9%), 법무부(11.11%), 국방부(11.63%) 등이었다.
승진 막차 탄 다주택자
새로 임명된 강순희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이 주상복합 1채를 포함해 총 3채를 보유했다. 강성주 한국교원대 부총장도 3주택자다.
국토교통부에서도 다주택 승진자가 나왔다. 지난 1월 승진한 김상도 항공정책실장은 강남구 개포동 아파트와 세종시 도담동 아파트를 각각 보유했다고 신고했다.
‘다주택 막차 승진’ 36명 중 17명은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 아파트(분양권 포함)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경제 부처 다주택자 비율.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224명이 집 483채 보유
심서현 기자 shshi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