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세균 국무총리. 뉴스1
'코로나19 회의' 때 나온 부동산
정 총리는 이날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갑자기 “최근 부동산 문제로 여론이 매우 좋지 않다”고 운을 뗐다. 국무총리로서 특별히 말한다면서다. 그는 “고위 공직자가 여러 채의 집을 갖고 있다면 정부가 어떠한 정책을 내놔도 국민의 신뢰를 얻기가 어렵다”며 “백약이 무효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대한 비판과 맞물려 다주택 혹은 고가의 주택을 소유한 일부 고위공직자와 정치인들에 대한 비난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고위직은 1081명
정 총리가 지시한 부처·지자체별 다주택자 실태 파악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이유다. 정 총리의 이날 작심 발언과 관련, 공직 사회는 뒤숭숭한 분위기다. 헌법에 명시된 재산권을 침해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활동가들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민주당 다주택자 의원들의 주택 처분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인사 등 조치할 수도
참여연대는 이날 오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위공무원과 국회의원을 향해 다주택 처분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국회와 정부가 보다 전면적인 투기 규제와 주거 안정화 입법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 회원들이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주거 부동산 정책을 담당하는 다주택자 고위공무원과 국회의원들에게 거주 목적 1주택을 제외한 주택 매각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심각한 부동산 민심
여기에 청와대 고위공직자, 여당 내 다주택자 실태까지 공개되면서 가뜩이나 끓는 여론에 기름을 부었다. 지난해 12월 다주택 처분을 앞장섰던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이 ‘강남’ 아파트 대신 자신의 지역구인 청주 아파트를 매매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정부 세종청사 모습. 뉴스1
정 총리, "하루 빨리 매각조치를"
정 총리는 현재 1주택자다. 서울 마포구 상수동 아파트만 보유하고 있다. 계약면적은 150㎡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총리 후보자시설 당시 공개된 아파트 가격은 9억9200만원이다. ‘마포·용산·성동구’ 지역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똘똘한 한 채’로 평가받지만, 정 총리는 상대적으로 다주택 문제에서 자유로운 편이라고 한다. 이날 작심 발언을 쏟아낼 수 있었던 배경이기도 하다.
세종=김민욱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