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수도권·PK, 중도층 이탈 커
“여권 독주에 대한 경고 메시지”

문재인대통령국정지지율추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전주 조사에 비해 1주일 만에 긍정평가는 7.4%포인트 감소했고, 부정평가는 5.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조국 사태’ 때도 버텼던 세대의 변화다. 그 밖에 50대(54.2%→49.4%), 70대(47.4%→43.2%)에서 긍정평가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다만 40대는 여전히 문 대통령에게 견조한 지지도를 유지했다(긍정 평가 63.4%).
지역·이념별로는 수도권과 PK(부산·울산·경남), 중도층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PK에서 긍정평가가 7%포인트 감소(53.3%→46.3%)했다. 수도권(54%→49.3%)과 서울(51.8%→47.4%) 역시 하락 폭이 큰 편이었다. 중도층의 대통령 지지율도 4.9%포인트 감소(49.5%→43.6%)한 반면, 부정평가는 5.7%포인트(47.4%→53.1%) 늘어났다.
이 같은 추이는 복합 악재 때문이란 지적이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인국공(인천국제공항공사) 사태, 6·17 부동산 대책 실효성 논란, 국회 상임위 민주당 독식, 추미애-윤석열 대립 등이다. 엄경영(정치평론가) 시대연구소장은 “특히 단기적으로는 민주당이 모든 상임위를 다 가져가고 일방적으로 추경 등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며 국민이 ‘이건 좀 아니지 않나’ 생각했을 것”이라며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현 여권의 독주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했다.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대위원장은 이와 관련, “부동산이 안정될 가망성이 전혀 보이지 않고 사람들에게 너무 실망을 주고 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오고 가는 이야기를 보면 짜증이 날 수밖에 없다. 과거에 이런 정부가 없었다”고 말했다.
한영익 기자 hanyi@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