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방법 동원, 경제 살릴 것”

파월 Fed 의장
추가 경기부양 나선 미 Fed 의장
“빠른 경기 반등 환영할 일이지만
팬데믹 전보다 생산·고용 나빠”
회사채 발행시장서 직접 매입
은행장 간담회 간 한은 총재
기업 업황BSI 56 여전히 한겨울
“코로나 소나기인줄 알았더니 장마
지원 계속하되 효율적 방식 찾아야”
파월 의장의 이날 답변은 경기 회복 가능성을 신중하게 보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증시에 부담이 될 수 있음에도 같은 입장을 재차 강조한 이유는 조속한 완전 회복을 장담하기는 힘들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그는 “생산과 고용 수준은 여전히 팬데믹 이전보다 훨씬 낮다”며 “앞으로 미 경제는 얼마나 바이러스를 억제하는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미국 다우지수 추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수차례 ‘V자’ 형태의 조속한 경제회복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파월 의장이 예측이 맞아가는 분위기다. 최근 텍사스를 비롯한 다수 주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급증함에 따라 경제 정상화 계획을 미루는 등 후유증이 길어질 조짐이다. 전날 캘리포니아에 이어 이날 애리조나도 30일간 술집·헬스장 등에 영업 재중단 명령을 내렸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이날 “쇼핑몰과 레스토랑에 대한 정상화를 늦추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정원 기자 bae.jungwon@joongang.co.kr
“혁신적 기업지원 고민할 때”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함에 따라 지금까지 전방위적으로 이뤄진 은행권 기업대출 방식의 변화 필요성을 피력하면서다.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 총재는 지난 22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에 초청 인사로 참석해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한다면 대응도 길게 보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융권이 기업을 지원하는 데도 지금처럼 전방위적 지원을 계속할 수 있는지, 접근 방식을 바꿔 지원할지 고민해야 할 때가 온 것”이라며 “좀 더 창의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 있을 텐데, 어려운 기업이 영업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꾸면 지원한다든지, 거래은행이 업종 변경을 권고한다든지, 기업의 경영 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존 방식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사실상 ‘선별’ 지원 전환에 대한 화두를 던진 것으로 은행권은 해석하고 있다.

제조업 현황 BSI
하지만 그는 지원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아직은 가계와 기업에 대한 지원을 중단해선 안 된다’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의 말을 인용하며 “지원 자체는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던 기업의 체감경기가 반짝 풀리는 조짐이지만 여전히 꽁꽁 얼어붙은 한겨울이어서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6월 전(全)산업 업황BSI는 56으로 전월 대비 3포인트 상승해 두 달 연속 올랐다. 제조업 업황BSI도 51로 전월 대비 2포인트 상승하며 5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하지만 기준점인 100은 물론 1년 전(각각 74·75)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BSI는 기업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지수로 100이 넘으면 업황을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고, 반대면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최근의 회복은 정부 정책에 힘입은 바가 크다. 한은 관계자는 “긴급재난지원금 등 정부의 정책효과와 주요국 경제활동 재개로 인한 수출부진 완화로 전산업 업황BSI가 상승했다”며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정책 등으로 국내 가전제품 제조업체의 최근(3월 23일~6월 18일)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약 2.3배 증가했다”고 말했다.
특히 내수기업 BSI는 47로 5월과 동일했다. 경영 애로사항으로 ‘내수 부진’을 꼽은 비중도 3.1% 증가했다. 내수 회복 속도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다는 의미다.
익명을 요구한 한은 관계자는 “(이 총재의 발언은) 코로나19 사태가 길어질 것을 염두에 둔 것”이라며 “결국 기업의 위기가 코로나19에 따른 일시적인 것인지, 아니면 이와 별개로 구조적인 문제인지 파악해 지원을 차별화해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