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핑크 [사진 YG엔터테인먼트]](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6/30/d534d5ac-a45e-43b9-8e53-5d2f853e7164.jpg)
블랙핑크 [사진 YG엔터테인먼트]
26일 미국 NBC의 간판 프로그램 ‘더 투나잇 쇼 스타링 지미 팰런’에 출연해 신곡 ‘하우 유 라이크 댓(How You Like That)’를 공개한 데 이어, 아이튠즈 내 미국 포함 64개국에서 동시 1위를 차지하는 등 K팝 걸그룹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 해외 반응도 뜨겁다. ‘더 투나잇 쇼’를 진행하는 지미 펠런은 블랙핑크에 대해 “현재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는 그룹”이라며 “‘현상’(phenomenon)이라는 말로 표현이 되지 않는다”고 극찬했고, 미국 연예잡지 ‘버라이어티’는 “금주 최고의 싱글”이라고 호평했다. 뮤직비디오 역시 최단시간(32시간 23분) 유튜브 1억뷰를 기록하는 등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BTS의 'DNA'보다 높은 조회수
팬덤보다는 글로벌 대중성 모색
'군무 따라하기'로 반복시청 유도
그런데 이런 블랙핑크도 앨범 판매량에서만큼은 작아진다. 앨범의 판매량 여부를 가늠하는 주요 척도인 초동 판매량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역대 걸그룹 음반 초동 판매량 1~10위 중 블랙핑크는 ‘킬 디스 러브’(2019년ㆍ5위)만 올랐다. 경쟁 그룹인 아이즈원(1ㆍ2ㆍ7위)이나 트와이스(3ㆍ4ㆍ8~10위)에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초라한 결과다. 20위까지 확장해도 블랙핑크의 앨범은 ‘SQUARE UP’(2018년ㆍ15위) 한 곡만 더 오를 뿐이다.

걸그룹 초동 판매량
![블랙핑크의 '뚜두뚜두' 뮤직비디오의 유튜브 조회수는 12억 245만건으로 방탄소년단의 최고기록인 'DNA'의 10억 2605만건보다 높다 [유튜브 캡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6/30/85a7b310-1d6e-4085-b56b-7906d1416fc9.jpg)
블랙핑크의 '뚜두뚜두' 뮤직비디오의 유튜브 조회수는 12억 245만건으로 방탄소년단의 최고기록인 'DNA'의 10억 2605만건보다 높다 [유튜브 캡쳐]
①서사 대신 군무=YG엔터테인먼트의 한 관계자는 “다른 걸그룹에 비해 뮤직비디오에서 서사보다 군무의 비중이 높다. 블랙핑크의 안무를 따라 하는 팬들이 몇 차례 반복해서 보게 하는 전략 중 하나”라고 말했다. 트와이스가 각 멤버에 일정한 역할을 부여해 캐릭터를 부각하거나 레드벨벳이 다중적 해석이 가능한 몽환적 서사를 펼치는 것과는 다른 방식이다.
지난해 『K팝 걸그룹 댄스 동작 분류 체계 및 시각화 구현』이라는 논문을 낸 박성제 중앙대 무용학과 교수는 “블랙핑크 등 걸그룹의 안무는 보이그룹보다 격렬하지 않고 하체보다 상체 위주로 반복적인 동작이 많다”며 “보이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따라 하기 좋기 때문에 해외에서 커버댄스와 플래시몹 등 다양한 형태로 소비된다”고 설명했다.
![16일 영국 패션지 '보그' 인터넷판에 실린 블랙핑크 인터뷰 기사 [영국 보그 홈페이지 캡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6/30/f600287e-45fb-4a63-9592-6b83d4ebf313.jpg)
16일 영국 패션지 '보그' 인터넷판에 실린 블랙핑크 인터뷰 기사 [영국 보그 홈페이지 캡쳐]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멤버의 패션 또한 많은 주목을 받는다. 특히 이번 곡에선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한복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들의 한복을 제작한 ‘단하주단’ 측에선 “전 세계에서 의상에 대한 문의와 구매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블랙핑크 ' ‘하우 유 라이크 댓(How You Like That)’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한복 패션 [유튜브 캡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6/30/26cc5e54-aa5e-47e2-a746-9318834da476.jpg)
블랙핑크 ' ‘하우 유 라이크 댓(How You Like That)’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한복 패션 [유튜브 캡쳐]
③팬덤 아닌 글로벌 대중성=폭발적인 유튜브 조회수와 상대적으로 저조한 앨범 판매량은 블랙핑크라는 ‘동전’을 설명하는 양면과도 같다.
김진우 가온차트 수석연구위원은 “방탄소년단(BTS)을 비롯한 K팝 아이돌이 강력한 팬덤을 구축한 뒤 세를 확장한 것과 달리 블랙핑크는 출발부터 국내 영역을 벗어나 글로벌 대중성을 지향하는 전략을 썼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앨범 초동판매량에서 1ㆍ2위를 기록한 아이즈원이지만 뮤직비디오 7곡 중 유튜브에서 조회 수 1억건을 넘은 건 ‘라비앙로즈’(1억2791만건) 뿐이다. 이중 음악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이 1위에 오른 ‘비올레타’(7회)도 유튜브 조휘 수는 6592만 건이다.
한·일 시장에 집중하는 아이즈원과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는 블랙핑크의 차이가 명확해지는 부분이다. 또 데뷔부터 일찌감치 걸크러시 스타일을 선보인 것도 한·일 시장 보다는 서구 시장을 겨냥한 포인트 중 하나다.

블랙핑크와 트와이스의 초동판매량 및 유튜브 조회 수 최고 기록 비교

블랙핑크와 아이즈원의 초동판매량 및 유튜브 조회 수 최고 기록 비교
구글트렌드를 통해 블랙핑크를 검색해봐도 한국ㆍ일본보다는 동남아 국가에서 강세를 보인다. ‘하우 유 라이크 댓’의 유튜브 검색량도 마찬가지로 동남아시아나 유럽 등에서 더 높은 집중도가 나타난다. 김 수석위원은 “태국 출신인 리사 뿐 아니라 로제와 제니 등이 해외 경험으로 영어 소통이 자유롭고, 블랙핑크가 서구 팝에 가까운 음악 스타일을 추구한다는 점도 이런 현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