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3월 공개된 오토 웜비어(가운데)의 재판 사진. 북한최고재판소는 그에게 15년 노동교화형을 선고했다. [로이터]](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6/20/81b6a1a9-f987-4c02-a73c-7fd3752e9f14.jpg)
지난 2016년 3월 공개된 오토 웜비어(가운데)의 재판 사진. 북한최고재판소는 그에게 15년 노동교화형을 선고했다. [로이터]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19일(현지시간) 개인 트위터 계정을 통해 오토 웜비어의 사망 3주기를 추모했다. 웜비어는 지난 2016년 북한에 억류됐다가 의식 불명 상태로 송환된 뒤 엿새 만에 숨진 미국 대학생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자신의 개인 계정에 “오늘은 오토 웜비어가 세상을 떠난 지 3년째 되는 날”이라며 “지난 몇 년 사이 웜비어 가족을 알고 지내게 됐다. 상상도 할 수 없는 상실감에도 그들의 결의와 애국심, 정의에 대한 헌신에 끊임없이 놀라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절대 오토를 잊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웜비어는 2016년 1월 관광을 위해 찾은 북한에서 선전물을 훔치려 한 혐의로 체포돼 북한으로부터 15년 노동 교화형을 선고받았다. 17개월 간 억류됐던 웜비어는 2017년 6월 의식불명 상태로 미국에 송환됐지만 엿새 만에 숨을 거뒀다. 그는 북한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심각한 신경 손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웜비어의 부모는 아들이 사망한 이후 북한 정권 압박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웜비어 부부는 2018년 말 아들의 죽음에 대한 북한 당국의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미국 법원에 제기해 5억114만 달러(약 6083억원)의 배상 판결을 받았다.
북한은 이 판결에 대한 배상을 거부했지마나 윔비어의 부모는 미 정가와 유대인계 네트워크까지 동원해 이 판결을 토대로 김정은 정권이 전 세계에 은닉해 놓은 자산 추적에 나섰다.
지난달에는 미국 내 여러 은행 계좌에 동결돼 있던 북한 관련 자금 2379만 달러(약 291억원)를 찾아냈다. 이 자금을 압류해 배상금으로 받아내면 북한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 웜비어 부부는 지난해 미국이 대북 제재 위반을 이유로 압류해 매각한 북한의 석탄 운반선 ‘와이즈 어니스트’호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받아 대금 일부를 받기도 했다.
![지난해 11월 22일 오토 웜비어의 아버지 프레드(오른쪽)와 어머니 신디가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주최로 열린 ‘납북ㆍ억류 피해자 공동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6/20/24a11df5-6da1-4e69-8d83-d1be7d1da20f.jpg)
지난해 11월 22일 오토 웜비어의 아버지 프레드(오른쪽)와 어머니 신디가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주최로 열린 ‘납북ㆍ억류 피해자 공동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 제3자 제재(세컨더리 보이콧)를 강화한 ‘오토 웜비어법’ 등의 대북 제재는 북한이 대량살상무기 확산 및 실험의 검증가능한 중단을 약속하고 미 정부를 포함한 다자간 회담에 합의할 때까지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 대사도 19일 트위터에 “오늘은 북한 만행의 희생자 중 한 명인 오토 웜비어 사망 3주기”라며 “고인의 명복을 기원하며 그의 부모인 신디와 프레드 웜비어에게 조의를 표한다. 우리는 잊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백희연 기자 baek.heeyou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