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수원 평동에 있는 쪽방촌 주민 일용직 A씨의 집. A씨가 여름에 의지하는 건 덮개가 없는 이 선풍기뿐이다. 채혜선 기자

지난 15일 쪽방촌 거주자 일용직 윤모씨의 주방. 윤씨가 씻는 곳이기도 하다. 윤씨는 코로나19로 일을 몇달 쉬게 되면서 월 17만원 정도 월세를 6개월 정도 밀렸다고 했다. 채혜선 기자

18일 경기도 수원 평동 쪽방촌. 채혜선 기자
코로나 속 첫 여름…폭염 대책 달라졌다

11일 오전 포항시 창포동 교차로에서 학생들이 대형 파라솔 밑에서 비를 피하고 있다. 대형 파라솔은 포항시가 폭염으로부터 시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설치했다. 뉴스1
각 지자체 상황을 종합하면 대표적인 폭염 대책 시설로 꼽혔던 ‘무더위 쉼터’가 줄줄이 문을 닫게 될 전망이다. 좁은 공간에서 밀접하게 접촉하는 무더위 쉼터가 자칫 코로나19 확산의 고리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대전시는 은행이나 공공기관에 설치된 무더위쉼터 120여곳을 제외한 경로당·복지관·보건소 등 무더위 쉼터 808곳을 임시 휴관했다. 무더위 쉼터의 문을 걸어 잠그는 흐름은 대구시·광주광역시 등 다른 지자체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경기도나 울산시는 지역사회 감염이 퍼지면 무더위 쉼터를 운영하지 않기로 했다.
각 지자체는 감염 우려가 있는 실내 시설 대신 실외를 중심으로 한 대책에 힘을 주는 분위기다. 전북도나 대전시 등은 취약계층을 위해 야외 무더위 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그늘막·그늘나무 등 생활밀착형 폭염 저감시설을 지난해 3610곳에서 올해 5615곳으로 확충했다. 김남근 경기도청 자연재난과장은 “신호대기 중 뜨거움을 느낄 수 있는 횡단보도 등 2005곳에 예산 126억원을 투입해 이런 시설을 추가 설치했다”고 말했다. 경기도 성남시도 최근 그늘막을 221곳에서 340곳으로 늘렸다. 다만 경기도나 광주광역시 등 여러 지자체는 ‘쿨링 포그(인공 안개분사 시설)’나 바닥 분수 사용은 자제하기로 했다. 김성학 광주광역시청 재난대응과장은 “사람에게서 나온 비말(침방울)이 분사된 미세 물 입자에 섞여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성을 고려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서울 성동구는 코로나19로 관내 경로당 162곳과 공공시설 84곳의 무더위 쉼터를 운영할 수 없게 되자 독거노인과 취약계층에게 냉방 용품을 전달하고 있다. 성동구청
서초구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속에 효과적인 폭염 대책을 찾기는 어렵겠지만, 무더위 쉼터 폐쇄만이 능사는 아니라고 본다”며 “무더운 여름날에도 모두가 안전하도록 코로나19 방역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꼼꼼한 폭염 대책을 세워나가겠다”고 말했다.
채혜선·김현예·최모란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