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투쟁본부 소속 조합원들이 27일 청와대 앞에서 고용안정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28/f5ea9836-833d-47de-9486-e8e96556bc05.jpg)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투쟁본부 소속 조합원들이 27일 청와대 앞에서 고용안정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3년 만에 공동명의 발표문
노동계 해고중단 요구에 맞제시
정부엔 “유동성 지원, 세금 감면을”
탄력근로제 조기 입법화도 요청
특히 경제단체의 공식 발표문으로는 이례적으로 노동계를 콕 집어 협조를 구했다. 협의회는 지난 20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관으로 첫발을 뗀 ‘노사정대표자회의’에 대해 “의미가 크다”며 “노동계도 회사를 함께 살리는 임금과 고용의 대타협 차원에서 상당 수준의 고통 분담에 대승적으로 협조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일감과 매출이 격감한 상황에서 기업의 노력만으로 고용유지 비용을 감당한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노사정대표자회의를 노동계가 주도하고, 친노동 성향의 정부가 힘을 보태 경영계를 압박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노동계는 해고 중단과 고용 안전망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경영계는 임금 인상 자제와 노동시간 유연화 등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날 서울에서 열린 경제단체협의회 정기총회에서 정승일(왼쪽 다섯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28/f2c8bbc2-5259-461e-ac8b-d8704c52d48f.jpg)
이날 서울에서 열린 경제단체협의회 정기총회에서 정승일(왼쪽 다섯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 “현재도 최저임금과 사회보험료의 급격한 인상이 누적돼 기업들의 고용 부담이 매우 높다”며 일자리 지키기에 들어가는 고용지원 재원은 기업의 추가부담이 아닌 일반 재정에서 충당해 달라고 요청했다.
앞으로 사회안전망을 확대하더라도 플랫폼·앱 기반 등 새로운 산업과 비즈니스 모델에 적합한 별도의 사용자-근로자 간 계약 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협의회 관계자는 “노사정 회의에서 정부와 노동계가 가장 먼저 요구하는 게 해고 금지, 일자리 유지”라며 “충분히 공감하지만 이를 위해선 현실적으로 기업 측 의견도 어느 정도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협의회는 ‘지속적으로 건의하지만 반영되지 않는’ 대표 규제로는 ▶신산업 진입규제 혁신 ▶환경분야의 과도한 기준과 까다로운 행정절차 개선 ▶교통유발부담금 제도 개선 ▶정유산업의 석유 수입부담금과 개별소비세 부담 완화 등을 꼽았다.
이소아 기자 ls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