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쉐보레 트랙스. 사진 한국GM
4일 한국GM에 따르면 트랙스는 올해 1~3월 미국에서 2만8242대가 팔려 소형SUV 판매 1위를 차지했다. 트랙스와 파워트레인(구동 시스템)을 공유하고 역시 부평공장에서 생산해 수출되는 뷰익 앙코르도 1만4238대가 팔려 4위에 올랐다. 2위는 혼다 HR-V(1만9414대), 3위는 현대 코나(1만5174대), 5위는 지프 레니게이드(1만4164대)였다.
트랙스와 앙코르의 1분기 미국시장 판매량은 미국 전체 소형SUV 판매량의 30%에 육박한다. 트랙스의 경우 지난 한 해 동안 22만9218대가 팔려 연간 소형SUV 판매 1위에 오르기도 했다.

뷰익 앙코르. 사진 GM
한국GM은 트랙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부분의 공장이 쉬는 4~5일 양일간에도 부평공장을 가동하기로 했다. 국내 자동차 공장 다수는 연휴와 해외 수요 감소로 5일까지 문을 닫는다.
미국에서 트랙스, 국내에서 트레일블레이저 등 소형SUV의 잇단 흥행이 2018년 경영난으로 공적자금 8000억원이 투입된 한국GM에게 활로를 뚫어주는 모양새다. 지난 3월 내수 판매가 전월 대비 80.1% 증가했는데 실적 향상을 견인한 모델이 트레일블레이저였다.

올해 1월 영종도 파라다이스시티에서 열린 한국GM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의 출시 행사. 김성갑 금속노조 한국GM 지부장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왼쪽은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 연합뉴스
한국GM 노사는 10개월을 끌어온 임금협상도 지난달 14일 마무리지었다. 노동조합의 찬반투표가 몇 차례 연기되면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으나 코로나19로 자동차 산업 자체가 어렵다는 공감대가 타결을 이끌어 낸 것으로 보인다.
한국GM은 이처럼 경영정상화 계획에 따라 순항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여파와 흑자 전환 등 과제가 남아있다. 한국GM은 지난해 330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전년도(6227억원)에 비해 적자폭을 절반 가까이 줄였다. 하지만 이는 매출 증가보다 비용 절감에서 나온 것이어서 신차 출시, 비핵심자산 매각 등에 더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성우 기자 blast@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