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제3차 비상경제회의에 참석하러 입장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중산층을 포함한 소득 하위 70% 가구에 대해 4인 가구 기준으로 가구당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오른쪽은 홍남기 경제부총리. [청와대사진기자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4/03/e9b89eea-2d69-4a5c-868b-b0e6f04bd99a.jpg)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제3차 비상경제회의에 참석하러 입장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중산층을 포함한 소득 하위 70% 가구에 대해 4인 가구 기준으로 가구당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오른쪽은 홍남기 경제부총리. [청와대사진기자단]
정부, "고액자산가 제외 방법 검토"

긴급재난지원금 가구규모별 지원액. 그래픽=신재민 기자
윤종인 긴급재난지원금 범정부 TF 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건강보험료를 활용해 올해 3월 기준 신청가구원에 부과된 건강보험료를 합산해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 대상이 된다"고 밝혔다.
선정기준선은 직장가입자 가구와 지역가입자 가구, 직장·지역가입자가 모두 있는 가구를 구분해 마련하기로 했다.
이날 정부가 밝힌 지급 기준선은 직장가입자 기준이다. 40만원을 받을 수 있는 1인 가구인 경우엔 건보료가 8만8000원, 2인 가구는 15만원 이하여야 60만원을 받을 수 있다. 3인 가구는 19만5000원, 4인 가구는 23만7000원 이하여야 각각 80만원과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자가 된다.

긴급재난지원금 선정기준. 그래픽=신재민 기자
윤 단장은 "소득 하위 70%에 해당한다 하더라도 고액자산가는 대상자 선정에서 제외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종합부동산세 등을 기준으로 지원금 제외 대상을 거르는 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단장은 "공적 자료 등을 추가로 검토해 적용 제외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와 함께 '가구'의 기준을 올해 3월 29일 주민등록법에 따라 세대별로 등재된 사람을 기준으로 보겠다고 밝혔다. 또 건강보험 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된 배우자와 자녀가 주소지가 다르더라도 생계를 같이 하는 경제공동체로 판단해 동일 가구로 계산하겠다는 추가 잣대도 내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소득이 최근에 급격히 줄었지만, 건보료에 반영이 되지 않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 대한 구제책도 마련하기로 했다. 윤 단장은 "지방자치단체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소득 상황을 반영해 (지급 여부를) 최종 판단하도록 보완 방법을 마련키로 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예 기자 hyki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