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못 구해 '코딩'으로 직접 앱 만들어

'마스크 찾아줌' 웹 사이트를 개발한 학생 개발자들. 윗줄 왼쪽부터 강창완(중2)ㆍ문정민(중2)ㆍ박성민(중2). 아랫줄 왼쪽부터 박현우(고1)ㆍ정우준(중2).
‘마스크 찾아줌’은 사이트 이름만큼이나 화면 디자인ㆍ기능이 단순하다. 지도상에 표시된 주변 약국의 위치를 클릭하면 마스크의 재고 수량을 알려준다. 여기에 ‘출생연도’를 클릭하면 마스크 구입이 가능한 날짜인지를 안내하는 기능을 더했다. 정 군은 “사용자들이 몰려와서 재고를 기록하는 방식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가 정부가 API를 오픈할 예정이라는 소식을 듣고 공공 마스크 판매 사이트를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서비스 제작에 드는 비용과 서버 등은 스타트업인 ‘구름’에서 지원했다. 현재 이들은 모바일 앱 버전을 개발 중으로, 구글 플레이 출시를 준비 중이다.
뉴욕 화장실 지도 경험 살린 '시민지도'

마스크 시민지도 사이트 안내.
이들이 만든 마스크 시민지도는 정부가 오픈한 API로 제공하는 공식 데이터뿐 아니라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만든 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임 교수는 “마스크가 품절된 약국에 마스크 재고가 있는 것처럼 정보가 제공되는 등 공공 마스크 재고 데이터에도 오류가 생길 수 있다”며 “마스크 시민지도는 시민과 자원봉사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직접 수정함으로써 공공 데이터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라고 말했다. 마스크 시민지도는 모바일 앱용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서버 폭주·정보 입력 시차로 문제도
이후 10일 오후 8시부터 ‘굿닥’ㆍ‘똑닥’ 등 기존 병원ㆍ약국 검색이나 병원 예약 앱 등이 일제히 마스크 재고 조회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서비스 개시 시각에 맞춰 한꺼번에 사람들이 몰리면서 서버가 과부하 되는 현상이 빚어지기도 했다. 또 약국별로 번호표 배부 시간과 실제 구매 시간이 다른 경우가 있어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도 발생했다. 아침에 미리 번호표를 모두 배부한 경우, 실제 판매 여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재고 상으로는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표시되기 때문이다.
![굿닥의 '마스크 스캐너' [사진 굿닥]](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11/e779c3e2-fc53-45e3-b035-5ef197f17eba.jpg)
굿닥의 '마스크 스캐너' [사진 굿닥]
남철기 과기정통부 디지털콘텐츠과장은 “15일까지 베타 테스트 형태로 운영한 뒤 서비스상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장기화할 경우 현재 2개월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는 클라우드 인프라도 연장해서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