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제8차 한일 수출관리 정책대화 영상회의 화면. 한국 수석대표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화면 위 가운데)과 일본 수석대표 이다 요이치(飯田陽一) 경제산업성 무역관리부장(화면 아래 가운데)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11/716adbb8-faec-42ac-87cf-57e6c0a2dd35.jpg)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제8차 한일 수출관리 정책대화 영상회의 화면. 한국 수석대표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화면 위 가운데)과 일본 수석대표 이다 요이치(飯田陽一) 경제산업성 무역관리부장(화면 아래 가운데)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뉴스1]
수출관리정책 대화는 지난해 7월 일본이 단행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대 품목(포토레지스트·플루오린 폴리이미드·고순도 불화수소)' 수출규제를 논의하는 자리다. 2016년 6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약 3년간 개최되지 않아 일본이 수출규제를 하게 된 배경이 되기도 했다. 한국 측 대표로는 이호현 산업부 무역정책관이, 일본 측 대표로는 이다 요이치(飯田陽一) 일본 경제산업성 무역관리부장이 참석했다.
해빙 조짐 보였던 수출규제
![지난해 12월 16일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국장(왼쪽)이 이다 요이치 일본 경제산업성 무역관리부장과 '제7차 한일 수출관리정책대화'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11/943c7590-b9a6-4caa-8713-d1b452c60a6b.jpg)
지난해 12월 16일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국장(왼쪽)이 이다 요이치 일본 경제산업성 무역관리부장과 '제7차 한일 수출관리정책대화'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7차 회의 나흘 후인 지난해 12월 20일, 일본은 3대 품목 중 포토 레지스트 대한 규제를 다소 완화하며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다. 일본 기업이 한국 업체에 원료를 수출할 경우 건건이 허가를 받도록 '개별허가'를 적용했지만, 수출 실적이 쌓인 기업에 대해서는 이를 '특정포괄허가'로 전환한다는 내용이었다. 수출 규제 이전 3년에 한 번만 허가를 받으면 됐던 '일반포괄허가'에 비해서는 미흡하지만,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됐다.
무역법 고치고, 관리인력도 충원했지만
![성윤모 산업부 장관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11/6876e66e-0188-49ee-85a4-8e31773d1490.jpg)
성윤모 산업부 장관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이에 한국은 수출관리정책 대화를 재개한 데 이어 지난 6일에는 캐치올 통제 관련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대외무역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수출관리지원 조직인 전략물자관리원의 인력도 25% 증원됐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지난 6일 일본 수출규제 관련 관계 장관회의에서 “산업부의 무역 안보 조직도 현재 '과 단위'에서 '국 단위' 정규 조직으로 확대 개편하고 무역 안보 인력을 확충할 것”이라며 “수출규제 사유가 모두 해소되고 있다”고 말했다.
입국금지에 재경색…"맞불 작전 도움 안 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5일 오후 도쿄 총리관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11/d27aa5b8-8845-490f-81d5-e4eec331ca94.jpg)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5일 오후 도쿄 총리관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지난 5일 열린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14일 격리와 한국인에 대한 무비자 입국 중단 등 입국규제 강화 조치를 발표했다. 한국 외교부도 9일부터 일본인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금지하고, 이미 발급된 비자의 효력도 정지하는 등 맞대응에 나섰다. 이후 수출관리정책 대화도 영상 회의로 형식이 바뀌었다.
정인교 인하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일본의 모든 외교 조치에 대해 정부가 곧바로 '맞불 작전'으로 일관하는 것은 상황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국내 코로나 19로 일본 외 다른 국가도 한국에 대한 입국을 제한한 만큼 수출규제 조치와 입국 제한을 곧바로 연관 짓지 말고 실용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