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명 신임 한국노총 위원장(오른쪽)과 이동호 사무총장이 21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한국노총 제27대 위원장·사무총장 정기선거인대회에서 당선된 후 조합원에게 화답인사를 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1/21/c185b757-39eb-4415-a95e-3705527dd624.jpg)
김동명 신임 한국노총 위원장(오른쪽)과 이동호 사무총장이 21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한국노총 제27대 위원장·사무총장 정기선거인대회에서 당선된 후 조합원에게 화답인사를 하고 있다. [뉴스1]
김동명 화학노련 위원장 새 위원장에 당선
사회적 대화 등 기조 급격한 변화 없을 듯
정부·민주당과의 관계는 재설정 천명
…"민주당과의 정책협약 즉각 재검토"
"제1노총 지위 회복" 공약 내걸어
민주노총과 조직경쟁 격화하면
산업현장 노노갈등 심화할 우려
김 신임 위원장의 당선으로 합리적 노동운동을 지향하는 한국노총의 기조가 크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는 이가 많다. 사회적 대화를 중시해온 김주영 현 위원장의 기조도 급격히 바뀌지는 않고,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 신임 위원장은 "투쟁과 협상이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소통의 리더십으로 조직을 하나라 만들어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보여 주겠다"고 했다.
다만 현 정부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의 관계 설정은 변화가 있을 수 있다. 2018년 기준으로 한국노총이 제1노총의 지위를 민주노총에 내준 데 대한 노총 내부의 정부·여당에 대한 불만이 만만찮아서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이 사회적 대화 파트너인 한국노총을 배신했다는 기류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 신임 위원장은 이와 관련 후보 정책 토론회에서 "이미 파탄난 민주당과의 정책협약을 즉각 재검토하고, 새로운 정치 방침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곧장 정책협약 파기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김 신임 위원장은 "정책 협약과 관련 민주당의 의지를 재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고, 이를 조합원에 묻겠다"고 했었다.
김 위원장은 "표면적이고 현상적 위기는 1노총 지위를 잃은 것이지만 근본적 위기는 신뢰를 잃은 것"이라는 진단을 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1노총 지위 회복을 선언했다. 조직 확대에 나설 뜻을 분명히 한 셈이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과의 경쟁이 심화하면 산업현장의 노노갈등이 격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현재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조합원 수는 각각 96만8000명, 93만3000명이다. 차이는 3만5000명. 대기업 몇 개에 해당하는 작지 않은 규모다. 여기에 민주노총 소속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조합원 6만여 명은 빠져있다. 법외노조여서다. 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을 등에 업고 공공부문에서 세력을 확장하는 민주노총을 막기가 쉽지 않다. 대기업은 민주노총의 텃밭이 된 지 오래다. 한국노총 조합원 상당수는 중소기업에 포진하고 있다. 한국노총이 제1노총의 지위를 회복하기가 만만찮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김 신임 위원장은 "모든 노동자가 한국노총에 쉽게 가입할 수 있도록 중앙단위 일반노조를 만들고, 50명의 조직활동가를 채용하겠다"고 말했다. 이들 조직활동가가 전국 사업장을 대상으로 신규 조합원 끌어모으기에 나선다는 의미다.
김기찬 고용노동전문기자 wols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