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키 인구가 감소하면서, 눈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스키장이 늘고 있다. 눈썰매장과 눈 조각 공원 등이 핵심 시설이다. 스키를 타지 못해도 즐길 거리가 많다. 휘닉스 평창도 150m의 눈썰매장을 갖춘 ‘스노우 빌리지’를 내놨다. 임현동 기자
휘닉스 평창 vs 비발디파크
스키 리조트 눈썰매장 전쟁
오색 조명 멋낸 스노우 빌리지
스릴로 승부한다 스노위랜드
“너무 빠르다 싶으면 발바닥으로 속도를 늦추세요. 손잡이는 놓치면 안 됩니다. 출발해요!”
“으아아앙!”
썰매를 타고 울퉁불퉁한 슬로프를 미끄러져 내려오는 아이들의 입에서 어김없이 비명이 터진다.
스노 보더의 성지로 통하는 휘닉스 평창이 올해 가장 공들인 시설은 의외로 눈썰매장이다. 눈썰매장을 비롯한 스노 테마파크 ‘스노우 빌리지’를 올겨울 처음 선보이기 때문이다. 눈 테마파크의 무대는 겨울 휴장에 들어간 스키장 옆 골프장. 지난달부터 끊임없이 인공 눈을 뿌리고 다져 눈 세상을 만들었다.
스노우 빌리지의 대표 시설은 150m 길이의 눈썰매장이다. 길이는 평범하지만, 슬로프에서 올림픽 정식 코스를 만든 내공이 느껴진다. 평평하고 너른 일반 썰매 슬로프와 달리 경사면이 울룩불룩 굴곡져 있다. 썰매는 안전요원이 일일이 손으로 밀어 출발시켰다. 수동이다 보니 “세게요” “살살요” 같은 맞춤 주문도 가능했다. 옆 레일 꼬마를 따라서 “스핀 걸어 밀어달라”고 했다가 간이 떨어지는 줄 알았다. 눈으로 만든 레일에 이리저리 부딪혀 가며, 파도를 타듯이 비탈을 내려왔다. 20초면 닿는 거리지만, 체감 시간은 훨씬 길었다.
눈썰매장 위쪽의 너른 눈밭은 어트랙션 존이다. 스노우 모빌이 대여섯 명을 실은 고무보트를 매달고 설원을 질주한다. 핸들과 브레이크가 달린 바이크형 썰매는 직접 운전하는 재미가 크다. 눈으로 세운 대형 미로는 아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이다. 평평하고 완만한 전통 눈썰매장도 있어 취향대로 즐길 수 있다.

스노우 빌리지의 눈 조각 공원. 기념사진을 찍기 좋은 곳이다. 백종현 기자

스노우 빌리지의 달빛 무빙 워크. 기념사진을 찍기 좋은 곳이다. 백종현 기자
워터 슬라이드처럼 짜릿
비발디파크의 ‘스노위랜드’는 스노 테마파크의 원조라 할 수 있다. 이태 전 스키 리조트 중 최초로 눈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를 개장했다. 규모는 10만9000㎡(약 3만3000평). 네 종류의 썰매장을 비롯해 눈 동산, 이글루, 플레이 그라운드 등을 갖췄다.
스노위랜드는 강원도 매봉산(650m) 자락 460m 높이 산등성이에 들어서 있다. 비발디파크 메인센터에서 스노위랜드로 올라가는 전용 곤돌라를 타면 8분 만에 닿는다.

30도 경사의 슬라이드를 타고 내려오는 레이싱 썰매. 백종현 기자
레이싱 썰매장의 슬라이드는 두 종류인데 경사가 한쪽은 20도, 다른 쪽은 스키점프대와 맞먹는 30도에 달한다. 30도짜리에선 어른도 비명을 참기가 어렵다. 다만 2인승 튜브 보트만 있어 혼자서는 탈 수 없다. 강심장의 짝을 겨우 찾아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왔다. 모자가 벗겨질 만큼 속도감이 대단했다. 레이싱 썰매를 제대로 즐기려면 개장 시간에 맞춰가는 것이 좋단다. 설질이 좋아 잘 미끄러지는 시간이다.

4~6명 함께 타는 래프팅 썰매. 백종현 기자

스노위랜드에서 눈 장난을 하는 어린이. 백종현 기자
스노우 빌리지 이용정보
주간 오전 10시~오후 5시, 야간 오후 6시~오후 9시 개장. 입장권 1만5000원, 자유이용권(4시간) 2만5000원(투숙객은 1만7000원). 단지 내에서 스노우 빌리지로 가는 무료 셔틀버스가 20분 간격으로 출발한다.
스노위랜드 이용정보
오전 10시~오후 4시30분, 야간 오후 6시30분~10시 개장. 입장권 1만8000원, 주간권 4만3000원(투숙객 10% 할인). 강남·건대입구 등 서울·수도권의 75개 승차장에서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평창·홍천=백종현 기자 baek.jonghyu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