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사상 첫 제자리걸음
유병기간 2년 전보다 0.8년 늘어
폐렴으로 숨질 확률 10%로 증가
기대수명은 해당연도 출생아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를 뜻한다. 통계청은 시·구청 등에 신고된 사망신고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될 경우 특정 연령의 사람이 몇 세까지 살 수 있을지를 추정해 기대수명과 기대여명을 발표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해당연도 사망률이 높아지면 기대수명도 증가세가 꺾이거나 줄어든다.

한국인의 기대수명. 그래픽=신재민 기자
남은 수명을 뜻하는 기대여명은 80세 이상 남성과 90세 이상 여성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증가했다. 지난해 40세 인구의 기대여명은 43.6년으로 집계됐다. 남성은 40.8년, 여성은 46.5년으로 여성이 더 오래 살 것으로 예상됐다. 60세의 경우 남성은 22.8년, 여성은 27.5년으로 10년 전보다 각각 2.6년과 2.3년 늘었다.
지난해 출생아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지내는 기간(유병 기간 제외 기대수명)은 64.4년으로 전망됐다. 총 82.7년 중 18.3년은 병을 갖고 살아간다는 의미다. 남성은 64년, 여성은 64.9년이다. 다만 건강하게 보낸 기간의 비율은 남성이 80.3%로 여성(75.6%)보다 높았다. 2년 전 조사에서 유병 기간은 17.5년, 유병 기간 제외 기대여명은 64.9년이었다. 유병 기간 제외 기대수명은 2012년부터 격년마다 발표하고 있는데 꾸준히 감소 중이다.
김 과장은 “한국이 의료보험 서비스나 건강검진 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 보니 암·고혈압 등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경향이 늘었다”며 “이에 유병 기간 제외 기대수명이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사망 원인으로는 암이 20.7%로 가장 높았고 심장질환(11.8%)과 폐렴(10%)이 뒤를 이었다. 특히 폐렴으로 인한 사망확률은 10년 전보다 6.8%포인트로 가장 많이 증가해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세종=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