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서울평화회의가 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렸다. 앞줄 왼쪽부터 박명림 김대중도서관장,시그프리드 헤커 미국 로스엔젤레스연구소 명예소장,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 홍석현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 라모스 오르타 전 동티모르 대통령, 이낙연 총리, 박원순 서울시장, 한명숙 전 총리,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베르디 페니히 독일 자유대 명예교수. 변선구 기자
홍 이사장은 축사에서 “한·일 갈등은 한반도와 일본, 동북아 전체의 평화를 위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며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安倍晋三)가 결단을 통해 큰 타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국 갈등의 뿌리인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다. 홍 이사장은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 배상 요구를 않겠다’는 결단으로 도덕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며 “초당적 민간 현인회의를 통해 이를 검토하고 일본과 양자 협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홍 이사장은 아베 총리에게는 “불법적인 식민지배와 강제징용에 대한 사과와 반성을 양국 정부간 합의의 형태로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며 “간 나오토 담화(2010년)와 김대중ㆍ오부치 선언(1998년)처럼 한반도와 한국인을 대상으로 분명한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석현 이사장, 4일 '2019 서울평화회의'서 제안
"문 대통령, 아베 총리 결단 통해 큰 타협 해야"
평화회의를 주최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은 세계적인 도시이면서 군사분계선 바로 밑에 있는 경계 도시”라며 서울의 상징성을 강조했다. 박 시장은 “현실을 인정할 때 비로소 평화를 실현할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조연설은 동티모르 독립운동을 주도해 1996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호세 라모스 오타르 전 동티모르 대통령이 했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과 군부는 핵으로부터 발생된 절대 권력을 누리려 하기 때문에 핵 포기를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과거에도 1974년 인도가 첫 핵실험을 하고 파키스탄이 핵 실험을 할 때 당시 강대국들은 빈곤한 남아시아 국가들이 핵무장의 길로 나서는 것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시민들은 핵무기 없는 비전을 결코 포기해선 안 되며,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