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통 “경제안보 위해 협력 불가피
기타무라 국장 주도로 인식 확산”
아베 “문 대통령과 양자회담 조율”
한국과의 협력 복원 필요성이 강조되는 배경엔 최근 일본 총리관저가 힘을 쏟고 있는 ‘경제 안보’ 이슈가 있다. 미·중간 무역 충돌 등으로 글로벌 경제환경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일본 총리관저는 경제안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봄 국가안전보장국(NSS) 산하에 ‘경제반’을 신설한다. 통상 마찰 대응, 하이테크 분야에서의 국제 연대, 외국과의 인프라 협력 등을 총괄적으로 지휘할 조직이다.
이런 움직임은 아베 총리의 최측근으로 지난 9월 NSS 국장에 새로 취임한 기타무라 시게루(北村滋)가 주도하고 있다. 일본 소식통은 “기타무라 국장을 비롯한 NSS를 중심으로 ‘화웨이 등 중국 통신장비 업체들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이어질 경우 일본으로선 5G 분야에서 삼성 등 한국 업체와의 협력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 한국 정부 소식통은 “아직 일본 정부로부터 ‘연내에 일부라도 규제를 풀겠다’는 명확한 시그널을 받은 적은 없다”면서도 “12월 정상회담에서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일정한 성과를 내야 한다는 공감대는 일본 정부 내에 있다”고 했다. 이 소식통 역시 “화이트국가로의 복귀는 단시간 내 해결되기 어렵다”며 “정상회담을 계기로 풀릴 수 있는 것은 3개 품목에 대한 수출 규제 조치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