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실손보험료 싸고 ‘네 탓’ 공방
10개 손보사 1~7월 손실액 3조
조정 최대치인 25% 인상 요구
내달 초 협의체 열어 결정키로
“과잉 진료 등 비급여 제도 보완 필요”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한 손보사 관계자는 “손보 업계도 당초 문케어가 시행되면 손해율이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환영했지만 되레 손해율이 올랐다”고 토로했다. 이 같은 업계의 주장에 정부가 이례적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정책연구원은 지난 12일 보도자료를 내고 “2016~2017년 보장성 강화로 보장률(전체 의료비 가운데 건강보험이 부담하는 비율)이 62.6%에서 62.7%로 높아졌지만 손해율은 131.3%에서 121.7%로 낮아졌다”며 최근의 손해율 상승은 문케어와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손해율 상승의 원인으로 실손보험상품을 지목했다. 상품 자체가 미용·성형을 제외한 모든 비급여를 보장하고 있어 (문케어와는 관계없이) 비급여 진료를 양산하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가 산정한 손해율 수치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보험연구원이 재반박에 나섰다. 보험연구원은 2016~2017년 손해율이 주춤한 데 대해 “문케어를 시행하기 전의 얘기”라며 “2016년 초 보험료를 20%가량 인상했는데 그 효과가 단계적으로 반영된 영향이고 이후 손해율은 상승 추세”라고 받아쳤다. 문케어는 2017년 8월 발표 후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갔다. 보험연구원은 손해율에 대해선 “보험사가 임의로 산출한 게 아니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정한 작성 양식과 기준에 따라 산출한다”고 선을 그었다. 정성희 보험연구원 손해보험연구실장은 “상품을 잘못 설계한 문제도 분명 있으므로 업계는 보험료 차등제 등을 적극 논의해야 한다”면서도 “기존 계약에는 적용이 어려운 만큼 과잉 진료 등 비급여 진료에 대한 정부의 제도 보완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내년 실손보험료 15% 안팎 인상될 듯
정부는 늦어도 다음주에는 협의체를 열어 내년 보험료 조정폭을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업계는 손해율 급증 등을 들어 보험료 조정 최대치인 25% 인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는 난색을 나타내고 있다.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긴 하지만 큰 폭으로 올리면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때문이다. 보험 업계의 한 관계자는 “문케어로 손해율이 낮아질 것이라는 게 정부의 주장이었는데 (큰 폭의 인상을 결정하면) 기존 주장을 뒤집는 것이어서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손해율 등을 고려하면 내년 보험료는 올해 인상률(8~12%)보다 높은 15% 안팎에서 결정되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황정일 기자 obidius@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