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금강산관광지구를 현지지도하고 금강산에 설치된 남측 시설 철거를 지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0월 23일 보도했다.[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21/b3e200ee-c747-4804-9384-2198ef34302d.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금강산관광지구를 현지지도하고 금강산에 설치된 남측 시설 철거를 지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0월 23일 보도했다.[연합뉴스]
2차 하노이 정상회담 한미 공감대, 북한 거부해
북 "사업별 예외조치보다 유엔 결의 자체 완화"
하노이이후 북한 개성·금강산 입장 변함 없어
실제 하노이 정상회담 직후 이용호 북한 외무상과 최선희 부상은 심야 브리핑에서 "유엔 대북 제재 결의 11건 가운데 2016 ~2017년에 채택된 5건, 그중에 민수(民需)경제와 인민생활에 지장을 주는 항목들만 먼저 해제하라는 것"이라고 북한 요구를 설명한 바 있다. 이 가운데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채택된 2375호(2017년 9월)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채택된 2375호(2017년 9월)는 대북 유류 공급 30% 감축과 더불어 대북 투자와 합작사업을 전면 금지했다. 북한이 개별 사업이 아니라 해외 자본유치를 봉쇄하고 있는 유엔 제재 시스템 자체를 해제할 것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북한은 6자 회담 복귀 조건으로 2007년 2년 간 동결됐던 방코델타아시아(BDA) 자금 2500만 달러를 돌려준다고 했을 때도 "우리가 원하는 것은 돈이 아니다. 정상적인 국제 금융결제 시스템"이라고 한 적이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직접 가져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은행을 거쳐 북한은행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6자회담을 재개한 적이 있었다.
한·미가 영변 핵시설 해체를 포함한 1단계 비핵화 조치에 대가로 개성·금강산관광 일시 제재 완화 카드를 제안했다는 것은 처음으로 공개된 것이다.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들은 하노이 정상회담 전·후로 우리 정부의 거듭된 개성·금강산 제재 면제 검토 요청에도 불구하고 "개성·금강산에 대한 제재 면제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분명히 한 바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노이 정상회담 당시 제안이 사실이라면 북한의 주요 유엔 제재 일괄해제 요구때문에 개성·금강산사업이 가로막힌 셈이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