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효식 워싱턴 특파원
요즘 미국은 대외 원조를 삭감하려 혈안이 돼 있다. 백악관이 지난 8월 40억 달러 미집행금을 삭감하려다가 의회 반대로 포기했다. 오죽하면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의 수사를 요구하며 우크라이나 군사원조 4억 달러를 유보했다가 탄핵의 명분을 제공했을까. 유엔에도 올해 분담금 6억 7000만 달러를 아직 내지 않았고, 지난해 체납액 3억 8000만 달러를 포함해 최대 체납국이다.
지난 주말 미 국무부 고위 관계자는 한국에 대한 50억 달러 방위비 분담금 요구에 대해 “지역의 안보 역학이 변화함에 따라 한·미관계도 바뀐 것”이라고 설명했다. 66년 한·미동맹 우산 아래 한국도 안보·경제 강국으로 성장했고 북한과 중국·러시아의 위협도 커졌으니 “더 내라”는 뜻이다. 안보 부담을 공평하게 나누는 것이 한·미관계를 균형 있게 하고, 자존심도 지킬 수 있으며, 존경심을 유지할 수 있다는 얘기도 했다.

미국의 1945년 이후 최대 원조대상국.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시간이 지나면서 동맹관계도 변하는 것은 당연하다. 원조동맹인 올해 70주년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를 놓고도 2016년 대선 때부터 시효 만료 논란이 일었다. 현재 유럽연합(EU) 탈퇴 절차를 진행 중인 영국 외에 거의 모든 나라가 미국과 긴장 관계다. 하지만 방위비 증액으로 다퉈도 이 대서양동맹이 깨질 것이라는 사람은 워싱턴에 없다.
한·미동맹의 뿌리도 그만큼 튼튼한가. 언제까지나 필수불가결한 동맹으로 남을 수 있을까 대답할 시점이 왔다. 미 행정부와 의회는 금요일 자정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 여부를 통해 한국이 진정한 동맹인지 지켜보겠다는 태세다.
정효식 워싱턴 특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