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유치용 주택 2채를 건설 중인 화순 아산 초등학교 공사현장. [사진 전남도교육청]](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19/bc7e26ae-8acf-42b2-b428-d459ae03c5cb.jpg)
학생 유치용 주택 2채를 건설 중인 화순 아산 초등학교 공사현장. [사진 전남도교육청]
“전국서 전화 빗발 업무 마비 지경”
2가구 중 1가구는 공모 통해 선정
아산초 전교생은 현재 27명이지만 6학년 10명이 졸업하면 신입생이 입학해도 전교생이 19명으로 준다. 지방 붕괴를 상징하는 전형적인 ‘작은 학교’다. 전학을 오는 학생이 없어 마을에서 출산율이 오르지 않으면 학생 수가 늘어날 수 없다. 아산초는 이미 화순 북면 인근 22개 마을을 학군으로 둔 4개 분교와 통폐합됐지만, 학생 수는 계속 줄고 있다.
아산초 김경순 교장은 “지난주에 광주광역시·경기·충남·강원 등 전국에서 입주절차를 묻는 전화 때문에 학교 업무가 불가능할 정도였다. 캐나다에서도 전화가 왔다”며 “때문에 무상주택 입주자 선정에 공정성이 필요하다는 내부 검토에 따라 평가표를 만들고 공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아산초의 주택 입주자 선정기준은 ▶자녀 수 ▶학년 ▶유치원생 ▶학부모 면담 등 4가지다. 아산초의 학생유치용 무상주택에서 살 수 있는 가족은 단 2가구로 이 중 1가구는 광주에서 이사 오는 2학년 쌍둥이와 유치원생 가족으로 결정됐다. 평가 가점은 자녀 수가 3명 이상일 때 최고점인 5점, 학년은 오래 학교에 다닐 1~2학년 자녀일 때 최고점인 5점이다. 초등학교로 진학할 수 있는 유치원생 자녀 나이도 평가 항목이다.
배점 비중이 가장 큰 항목은 최고 20점의 학부모 면담이다. 아산초는 학부모 면담에서 ▶향후 정착을 위한 노력(10점) ▶학교 교육철학에 대한 공유(5점) ▶아산교육공동체와 적응 의지(5점) 등을 평가한다. 김경순 교장은 “학교 내부에서 가족이 살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학부모의 자녀교육 이해도가 중요하다”며 “아동학대라든지 절대 있어서는 안 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꼼꼼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지역의 인구유입도 중요하다 생각해 학부모의 정착 의지도 높게 평가한다.
화순=진창일 기자 jin.changil@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