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15일 오후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흉악범죄 북한 주민 추방과 관련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17/f8726501-02b5-48a3-8cff-57fcf91721da.jpg)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15일 오후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흉악범죄 북한 주민 추방과 관련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
통일부-통일장관 답변 달라 논란 자초
북한이탈주민 수용 헌법 3조도 ‘흔들’
유엔 “탈북자 예외없이 고문” 보고서

.
법조계와 학계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은 한국 국민이라는 헌법적 측면 ▶강제고문할 소지가 큰 나라로 보내지 않는 인도적 측면에서 모두 미비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판사 출신인 조용원 변호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북한에 살고 있는 주민들도 우리 헌법의 적용 대상으로, 헌법의 보호범위에 있다”고 적었다. 또 다른 국제법 학자는 “주관적 귀순의사가 있고 주권적 범위 내로 들어오면 범죄 여부와 관계없이 그 사실 자체에 의해 한국 사람이 된다고 본다”고 했다. 정부가 북송 근거로 주장하는 귀순 의사의 진정성에 대해서도 송인호 한동대 교수는 “현행 법률상 귀순 의사는 동기나 시기 면에서 아무런 제한이 없다”며 “귀순 의사를 (정부가) 임의로 부정한 조치는 위법적 행위”라고 페이스북에 밝혔다.
![중국 랴오닝성 안산에서 체포된 탈북민 7명 중 9살 최모양의 부모가 5월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이 탈북민의 강제북송 중지를 위해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17/c8f57b0c-1190-4022-98c8-978f180ab1ff.jpg)
중국 랴오닝성 안산에서 체포된 탈북민 7명 중 9살 최모양의 부모가 5월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이 탈북민의 강제북송 중지를 위해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뉴스1]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는 지난 2014년 “중국에서 강제송환된 경험이 있는 100명 넘는 탈북자 모두가 한 명도 예외 없이 심문 과정에서 구타를 당했거나 악랄한 방식으로 고문받았다”고 밝혔다. 당시 COI 보고서는 강제 북송된 탈북자들에게 자행되는 반인도범죄(crimes against humanity)를 상세히 기록했다. ▶정기적 고문 및 자의적 구금 ▶성폭행 ▶강제실종 ▶즉결처형 ▶그 밖의 중한 인권 침해를 겪게 된다면서다. 특히 한국에 가려다 붙잡힌 탈북자들을 북한은 가장 심하게 다룬다고 보고서는 기술했다. 한 여성 탈북자는 “보위부에 구금돼 있던 중에 맨발의 한 할머니가 ‘노역을 해야 하니 신발을 달라’고 하자 보위부원들이 ‘너희는 동물이고 곧 죽어야 하니 신발을 얻을 자격이 없다’며 피를 흘리도록 구타했다”고 말했다. 한 남성 탈북자는 “5개월 동안 남성 13명이 죽는 것을 봤다. 시신을 다른 수감자들이 볼 수 있는 곳에 방치하며 ‘이것이 너희가 조국을 버렸을 때 겪게 될 일’이라고 공포심을 조장했다”고 말했다. 또 “성인들은 하루 10시간씩 일하며 한 끼에 옥수수죽 다섯 숟갈씩만 배분받았다”고 돌아봤다. COI 보고서는 “(각국은) 국제 인권 감시 기구가 북한의 인권 상황이 현저하게 개선됐다고 확인할 때까지 북한으로 어떠한 북한 이탈주민도 강제로 송환하는 것을 그만둬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북한 선원 2명을 강제 북송한 것은 이같은 유엔 조사위 권고와도 어긋날 소지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유엔본부에서 유엔총회 산하 제3위원회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인권담당 제3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인권침해를 비판하고 즉각적인 개선을 촉구하는 북한인권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17/d5f6e503-87e9-4770-995e-1114b80d991a.jpg)
지난 14일(현지시간) 유엔본부에서 유엔총회 산하 제3위원회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인권담당 제3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인권침해를 비판하고 즉각적인 개선을 촉구하는 북한인권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연합뉴스]
유지혜·백민정·김수민 기자 baek.minjeong@joon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