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 루이지에나 보시어 시티에서 대선 유세를 하고 있다.[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15/3e8903b4-416b-4077-b472-65438a53f6c0.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 루이지에나 보시어 시티에서 대선 유세를 하고 있다.[AP=연합뉴스]
하스 외교협회 회장 "트럼프 주한미군 철수 구실로 거부당할 요구"
CNN 미 의회 보좌진·관리 인용 보도,
국무·국방부 관리 47억 달러로 걸러
기지비용·하수도·준비태세 항목 추가
"폭격기 들르면 우버처럼 요금 청구"
에드 마키 "60년 넘은 한미동맹 훼손"
행정부 관리 "한국의 안보 자립 목표에 필요한 투자, 이번이 기회"
협상을 주도하는 국무부는 신설 항목에 관해 확인해주지 않고 있다. 미국이 요구 총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은 전날 방한하는 군용기에서 구체적 수치를 밝히는 것은 거부하며 "상당한 증액을 요구하고 있다"고만 했다.
이에 리처드 하스 미국 외교협회(CFR) 회장은 트위터에서 "한국이 500%를 더 지불하라는 요구는 거부당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며 "트럼프는 당연히 미군 철수의 구실을 찾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결과는 엄청난 전쟁 가능성과 일본의 핵무장"이라며 "이는 엄청난 규모의 전략적 만용"이라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대선 과정에서 "한국으로부터 주둔비용 100%를 보상받지 못한다면 주한미군을 철수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클링너 "수년간 15~20억 달러 주둔비, 올해 갑자기 50억 달러 뻥튀기"
미 의회도 방위비 협상이 깨질 경우 60년 넘은 한·미동맹이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에드 마키 상원 외교위 아태소위 간사는 CNN에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 때문에 걱정스럽다"며 "만약 한국이 미국 없이 잘 살 수 있다고 결정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60년 넘은 평화, 안정, 법치주의를 위한 공동의 약속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