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이 38년간의 찬반논란 끝에 ‘사업중단’쪽으로 기울었다. 사진은 사업 중단 측 집회 모습. [뉴시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9/17/73eb87d5-25e2-45b2-a72f-b18773cd2ffb.jpg)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이 38년간의 찬반논란 끝에 ‘사업중단’쪽으로 기울었다. 사진은 사업 중단 측 집회 모습. [뉴시스]
“환경 훼손…보완책 미흡” 부동의
강원·양양에 대안 사업 제안키로
주민 “입구 폐쇄…행정소송” 반발
설악산 오색지구~끝청 사이 3.5㎞ 구간의 케이블카 사업을 추진해온 양양군은 2016년 5월 영향평가서를 제출했으며, 원주환경청은 같은 해 11월 보완을 요구했다. 양양군은 지난 5월 16일 ▶동·식물상 현황 정밀조사 ▶공사와 케이블카 운영 때의 환경 영향예측 등을 보완해 다시 영향평가서를 제출했다.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이 38년간의 찬반논란 끝에 ‘사업중단’쪽으로 기울었다. 사진은 사업 추진 측 집회 모습. [뉴시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9/17/675ea53f-cd64-4cfe-ac0c-eada5f853e44.jpg)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이 38년간의 찬반논란 끝에 ‘사업중단’쪽으로 기울었다. 사진은 사업 추진 측 집회 모습. [뉴시스]
원주환경청은 마지막 회의 후 한 달간 논의 끝에 최종 협의결과를 공개하면서 “설악산은 자연환경·생태경관적 보호 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고, 국내 생물 종의 약 10%인 총 5018종이 서식하는 생물 다양성의 보고(寶庫)로서 보전·관리가 우선돼야 할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원주환경청은 또 “보완을 거쳤지만, 환경영향평가서가 현황조사, 영향예측, 저감방안 등을 적정하게 수립·제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
하지만 양양군 주민들은 문재인 정권 퇴진 운동과 설악산 폐쇄 조치를 하겠다며 반발하고 있다. 정준화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추진위원장은 “주민 숙원 사업에 보완 조치가 아닌, 부동의 결정을 내린 것은 양양 주민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말했다. 김철래 양양군 오색삭도추진단장도 “향후 행정소송을 통해 잘못된 처분을 바로 잡겠다”고 말했다.
김정연 기자, 양양=최종권 기자 kim.jeongye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