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차별도 금지하는 헌장 아래 내년 올림픽·패럴림픽을 개최하는 도시의 수장이 ‘증오범죄(hate crime)’의 과거에 진지하게 마주하려고 하지 않는다.”
아사히 사설서 "역사수정주의 가담 행위" 비판
미디어 노련하게 활용, '반한 감정'도 정치화
올림픽 성공, 재선 발판으로 중앙정치 노려
지지기반 공고화…우익 논리 도정에 반영
![지난달 24일 도쿄올림픽 1년을 앞두고 가진 기념행사에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왼쪽)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오른쪽)이 참석했다. 고이케 지사 오른쪽은 도쿄올림픽 조직위원장인 모리 요시히로 전 총리,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다. [EPA=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8/29/bac4a0bb-ebec-4b7d-81e1-8ff3d4a0dd9f.jpg)
지난달 24일 도쿄올림픽 1년을 앞두고 가진 기념행사에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왼쪽)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오른쪽)이 참석했다. 고이케 지사 오른쪽은 도쿄올림픽 조직위원장인 모리 요시히로 전 총리,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다. [EPA=연합뉴스]
이런 고이케 지사의 행동을 두고 아사히는 “(일본 우익들의) 역사 수정주의 움직임이 최근 계속되고 있다”며 “(고이케 지사가) 추도문 중단을 정착시킨 것은 그러한 풍조에 가담하는 행위 임에 틀림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키고, 우물에 독을 풀었다’는 당시 유언비어에 대해선 일본 정부가 이미 잘못을 시인했다고 강조했다.
![1923년 일본 도쿄를 비롯한 수도권 일대를 강타한 간토대지진 당시 학살된 조선인들을 추모하기 위한 행사가 지난해 9월 1일 도쿄 스미다구 도립 요코아미초공원에서 열렸다. 그러나 이날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추도문을 보내지 않았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8/29/3aa58123-ffd4-43ee-9df4-46d513f0ddd1.jpg)
1923년 일본 도쿄를 비롯한 수도권 일대를 강타한 간토대지진 당시 학살된 조선인들을 추모하기 위한 행사가 지난해 9월 1일 도쿄 스미다구 도립 요코아미초공원에서 열렸다. 그러나 이날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추도문을 보내지 않았다. [연합뉴스]
'극장 정치'하는 포퓰리스트
고이케는 당시 선거에서 ‘보육원 부족 사태를 해결하겠다’는 등 포퓰리즘 공약도 많이 내걸었는데, 그중에는 직전 마스조에 요이치(舛添要一) 지사가 약속했던 제2 한국학교 신설용 도유지 임대 계획의 백지화도 있었다. 결국 고이케는 “시민을 위해 써야 할 땅을 함부로 빌려줄 수 없다”며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켰다.
도지사가 되자 고이케는 정치 보폭을 크게 늘렸다. 자신이 직접 만든 정치사숙을 통해 정치 신인을 발굴한 뒤 ‘도민퍼스트회’라는 지역 정당으로 2017년 7월 도쿄도의회 선거에 나서 압승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그 바람을 이어 3달 뒤 중앙무대인 중의원선거에 ‘희망의당’이란 신생 정당으로 승부수를 던졌으나 참패한 뒤 당 대표에서도 물러났다.
![2017년 10월 일본 중의원선거를 앞두고 아베 신조 총리와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가 각각 자민당 총재와 희망의당 대표 자격으로 일본기자협회가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했다. [AF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8/29/003c152c-06b6-438e-ba4c-5e9d710d7201.jpg)
2017년 10월 일본 중의원선거를 앞두고 아베 신조 총리와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가 각각 자민당 총재와 희망의당 대표 자격으로 일본기자협회가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했다. [AFP=연합뉴스]
일본 정치권에선 고이케가 올림픽 성공과 도지사 재선을 발판으로 다시 한번 중앙정치에 발을 내밀 것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다. 2021년 9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임기 완료에 대비해 정계 개편의 중심에 서려 할 것이란 예측이다. 일본 우익의 역사 수정주의를 도정에 적극 반영하는 것도 지지기반을 공고히 하는 차원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