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3개월 안에 타격"
조사 결과 269개사 중 59.9%가 일본 정부 수출규제의 영향이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이 중 19.7%는 '매우 부정적'을 꼽았다. 부정적 영향으로는 매출 규모 축소(83.2%)와 영업이익 감소(68.3%)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수출규제 지속 시 버틸 수 있는 기간(감내 가능 기간)은 3~6개월이 30.1%로 가장 많았으며, 3개월 이내가 28.9%로 뒤를 이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47% "대응책 없다"…거래처 바꾸려면 1년 이상 걸려
이와 관련 익명을 원한 한 신호전송기기 제조업체 관계자는 "현재 제조하는 기기에 100% 일본산 중앙처리장치(CPU)가 들어간다"며 "재고가 6개월가량 남아있기는 하지만 해당 CPU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다른 거래처도 마땅히 없고, 설사 다른 업체에서 공급받는다 해도 제조 라인을 전부 다시 고쳐야 한다"고 토로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7/09/21ffc0b2-7551-4314-b66a-ac7f030d17bf.jpg)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중앙포토]
한편 이번 조사에서 관련 중소기업들은 현재 필요한 정부 지원책(복수응답)으로 ▶소재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 자금지원(63.9%) ▶수입국 다변화를 위한 수입절차 개선(45.4%)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20.1%) 등을 꼽았다. '정부 대응방안'으로는 53.9%의 업체가 '외교적 협상을 통한 원만한 해결'을 원했다. 'WTO 제소 등 국제법 대응'은 34.6%로 뒤를 이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다음 달 초 중소기업사절단을 구성해 일본을 방문할 것"이라며 "지한파로 알려진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일본 자민당 간사장 및 경제산업성 대신과의 간담회 등을 통해 민간 차원의 관계 개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김정민 기자 kim.jungmin4@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