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팀 18만명 분석
수입 정체된 하위층 사망률 최악
고지혈증 관리 등 제대로 못한 탓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7/09/7c52fe37-d412-48c6-b0cc-41fe138e3b12.jpg)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상위계층은 수입 변동에 따른 심혈관질환 사망률의 변동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수입의 오르내림(증가·감소)이 있던 상위계층 사람들은 사망률이 1%로 가장 낮았다. 연구 시작 시점보다 수입이 감소한 이들의 사망률은 4%로 다소 높았다.
중위계층부터 수입 변동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수입이 변동 없이 고정되거나 감소한 사람은 사망률이 8~9%로, 수입이 계속 상승하거나 오르내림을 경험한 사람에 비해 사망률이 4배 이상 높았다. 수입이 감소한 상위계층 사망률(4%) 보다도 2배 이상 높았다.
하위계층 중 수입 변동이 없던 이들의 사망률은 13%로 연구 대상 가운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지어 수입이 감소하던 상위 소득층보다도 3배 이상 높았다. 반면 소득 분위와 관계 없이 소득이 증가하거나 오르내림을 경험한 사람은 사망률이 2~4%로 큰 차이가 없었다.
소득 분위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지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연구팀은 소득 하위계층은 흡연, 운동 부족, 나쁜 식습관 등 건강 위험요인들의 영향과 함께 고지혈증에 대한 치료 등 적절한 예방 조치를 받지 못해 심혈관질환에 따른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했다. 과거 미국 연구에서 수입이 늘면 건강관리에 신경쓰게 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연구팀의 성지동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심혈관질환 사망률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불평등이 실제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소득이 증가한 경우에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며 “소득 양극화를 완화시키는 복지 정책이 국민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 예방심장의학(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6월호에 게재됐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