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 있는 여성 성공 못할 확률
14년 새 61 → 66%로 올라 최고치
성별 차별, 독박육아 등 큰 영향
30대 이후 평균소득 급격히 줄어
![[그래픽=심정보 shim.jeongbo@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5/07/7c0e0b61-3009-43d3-af5b-512830ecdd65.jpg)
[그래픽=심정보 shim.jeongbo@joongang.co.kr]
주 교수는 “여성들이 고소득층에 편입되려면 경력을 살려 꾸준히 승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며 “일부 ‘유리천장’을 뚫고 임원으로 승진하는 여성도 나오고는 있지만 대부분이 자녀 양육과 가사부담 등으로 경력이 단절돼 비상근 근무자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 기회 불평등 지수 상승의 한 가지 이유”라고 설명했다.
개천용지수는 ‘용’이 된 상위층 중 ‘개천’ 출신자들의 비율(N)과 상위층과 하위층 모두를 포함한 전체 집단에서 ‘개천’ 출신자들의 비율(Q)을 따져 구한다. 가령 개천 출신자들이 모두 용이 됐다면 N과 Q의 값은 같아진다. 반대로 용이 된 계층에서 개천 출신자들이 아예 없다면 N은 0이 된다. 이를 지수화(1-N/Q)하면 개천용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개천에서 용이 나올 확률은 낮아지며, 0에 가까울수록 ‘완전 기회 평등’에 가깝다는 의미가 된다. 백분율로 환산한 개천용지수가 66%라는 의미는 개천에서 태어난 능력자 100명 중 66명이 기회 불평등으로 인해 실패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래픽=심정보 shim.jeongbo@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5/07/49ae7759-9e08-4e0c-8e37-d7ad2a33256b.jpg)
[그래픽=심정보 shim.jeongbo@joongang.co.kr]
아버지 학력이 낮을수록 자녀 소득이 적어지는 현상도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학력이 가장 낮은 집단(중졸 이하) 출신자(30~50세) 중 능력이 있어도 소득 상위 20%에 진입하지 못할 확률은 2000년 23%에서 2013년에는 34%로 뛰었다. 이후 다소 하락했지만 2017년 28.9%를 기록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개천에서 용 나기’ 어려운 현상은 한국에서만 두드러진 것은 아니다. 주 교수 논문에 따르면 한국의 기회 불평등 정도는 스웨덴·노르웨이 등 북유럽 복지국가보다는 높았지만 미국·이탈리아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라틴아메리카의 경우 소득 분배 정책만으로는 불평등 개선과 경제 성장 모두를 달성하지 못했다”며 “교육 투자와 인적 자본 축적을 위한 정책이 우선돼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