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 외교방위 각료회의(2+2)에서 양측은 일본이 사이버 공격을 받을 경우, 미국이 ‘사이버 반격’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미일 외교국방장관(2+2)회담 공동문서 발표
"사이버공격시 미국 방위의무 발생" 첫 명시
"F-35A 완제품 수입키로.. 조달계획 차질없어"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 외교국방장관회의(2+2)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이와야 다케시(왼쪽부터) 일 방위상, 고노 다로 일 외무상,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패트릭 섀너핸 미 국방장관대행이 기자의 질문을 듣고 있다. [신화=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4/21/59372ad2-1972-47cd-9439-689b8e5662c0.jpg)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 외교국방장관회의(2+2)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이와야 다케시(왼쪽부터) 일 방위상, 고노 다로 일 외무상,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패트릭 섀너핸 미 국방장관대행이 기자의 질문을 듣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미·일안보조약 제5조는 미국의 대일 방위의무를 정한 규정으로, 사이버 공격에 대해서도 이 조항을 적용할 수 있다고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금까지는 육·해·공 등 눈에 보이는 공격을 적용 대상으로 간주했지만 앞으로는 사이버 공간도 대상이 된다는 점을 명시했다. 이에 따라 일본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고 이게 무력공격이나 다름없다고 판단되면 미군에 방위의무가 생긴다.
닛케이 신문은 "원자력발전소나 자위대 시설 같은 중요 인프라가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받았을 경우 발동하는 것을 상정했다"고 보도했다. 이와야 방위상은 기자회견에서 “미·일 공동대처의 가능성을 명확히 한 것으로 억지력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ㆍ일 외교국방장관회의(2+2) 에 참석한 고노 다로 (왼쪽부터) 일 외무상, 이와야 다케시일 방위상,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패트릭 섀너핸 미 국방장관대행[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4/21/20a594cd-8c5a-41b8-96da-534f4f8d6351.jpg)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ㆍ일 외교국방장관회의(2+2) 에 참석한 고노 다로 (왼쪽부터) 일 외무상, 이와야 다케시일 방위상,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패트릭 섀너핸 미 국방장관대행[AP=연합뉴스]
이와 관련 요미우리 신문은 중국군에는 사이버 공격 임무를 담당하는 부대가 약 3만명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2015년 우크라이나에 사이버 공격을 가해 대규모 전력공급 피해를 입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2014년 채택한 ‘웨일즈 선언’에서 사이버 공격도 집단적 방위 대상으로 한다는 내용을 기반으로 미국 측과 협의해 왔다.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ㆍ일 외교국방장관회의(2+2) 에 참석한 이와야 다케시(왼쪽부터) 일 방위상과 고노 다로 일 외무상[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4/21/d9716ac5-ca92-407b-a716-9eb23551fd10.jpg)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ㆍ일 외교국방장관회의(2+2) 에 참석한 이와야 다케시(왼쪽부터) 일 방위상과 고노 다로 일 외무상[AP=연합뉴스]
미·일 국방장관은 또 북한 핵·미사일 문제와 관련,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유엔 제재를 완전히 이행해나가기로 했다.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 방법으로 폐기한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해상에서 이뤄지는 북한 선박의 불법 환적도 미·일이 주변국과 연대해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
▷일 “F-35 조달 계획 그대로…조립은 미국서”=이와야 방위상은 최근 추락사고가 발생한 F-35A 전투기와 관련 “F-35A의 추가 조달 계획을 포함해, 미국산 무기 도입에 대해 현 시점에서 방침이나 정비, 배치계획을 변경할 예정은 없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 일본 미사와 공군기지에서 공개된 F-35A[EPA=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4/21/f6e3f616-1c4c-4ce5-b450-b34940be7c47.jpg)
지난해 1월 일본 미사와 공군기지에서 공개된 F-35A[EPA=연합뉴스]
도쿄=윤설영 특파원 snow0@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