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까지 ‘병목구간’ 복복선화
지역인사들 정차역 설치 건의키로
현재 평택~오송 구간의 선로용량은 하루 190회로 경부고속철도 개통 당시에서 전혀 늘어나지 않았다. 선로 용량은 일정 구간에 하루에 투입 가능한 최대 열차 운행횟수를 말한다. 2004년 개통 당시에는 서울역 등에서만 KTX가 출발하기 때문에 이렇다 할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호남고속철도와 수서고속철도(SRT)가 연이어 개통하면서 열차 운행을 늘려야 할 상황이 되자 이 구간이 심각한 ‘병목’ 현상을 빚게 됐다.
국토교통부의 사전 예비타당성 조사계획에 따르면 복복선화 구간은 KTX와 SRT가 합류하는 첫 관문역인 천안아산역을 정차하지 않고 지하로 통과하는 것으로 돼 있다. 신설 구간의 86%(39.2㎞)는 충남·세종 구간을 지나는데도 해당 지역민이 늘어나는 고속철을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은 막히는 셈이다.
양승조 충남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 이시종 충북지사는 최근 대전시청에 모여 ‘평택∼오송 복복선 천안아산 정차역 설치’를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충남지역 국회의원들과 충남 천안·아산시의회도 천안아산역 무정차 계획에 반대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천안아산역 신설 문제는 이용객 수요 등을 따져 봐서 결정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