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떠오른 종전선언
“평화체제로 가는 입구” 평가 속
실제 협상 때 중국 배제 힘들 듯
북, 주한미군 철수 이슈화할 수도
종전선언은 이처럼 정치적 측면에선 의미를 지니지만 북한이 종전선언에 만족할지가 변수다. 종전선언은 대북제재 해제에 극히 민감한 미국이 북한을 상대로 해줄 수 있는 몇 안 되는 보상 중 하나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결정한 대북제재를 미국이 나 홀로 해제할 수 없는 데다 미국의 독자 대북제재를 완화하려면 백악관은 민주당이 버티고 있는 하원을 설득해야 한다. 반면 정치적 선언인 종전선언은 이 같은 제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대신 ‘돈’과 직결돼 있지 않아 북한이 비핵화의 등가로 여기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종전선언이 부를 진짜 변수는 중국이다. 김의겸 대변인은 이날 “종전선언 주체가 남·북·미·중의 4자, 남·북·미의 3자, 북·미의 양자 등 어떤 형식이라도 정부는 환영”이라며 “북·미의 종전선언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김 대변인은 “우리와 중국, 미국과 중국은 이미 수교를 했고 남북은 두 번의 정상회담과 9·19 군사합의로 사실상 종전선언과 불가침 선언을 했다”며 “이제 남은 것은 북한과 미국”이라고도 알렸다.
그런데 종전선언에 합의하면 다음 단계는 종전선언을 하기 위한 협상인데 여기에서 한국전쟁 정전협정의 당사자인 중국을 배제하기가 쉽지 않다. 북한 역시 미국과의 일대일 종전선언 협상보다는 중국을 끌어들인 2대 1 협상이 더 유리하다고 볼 가능성이 크다. 이는 북·미 비핵화 협상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는 것을 뜻한다. 전직 고위 당국자는 “북한의 비핵화 필요성에는 주변국들이 모두 공감하지만 중국은 이 과정에서 북한과 미국이 급속도로 가까워지는 것을 막으려 한다”며 “러시아와 일본도 한반도 당사국이라 주장하며 협상에 개입할 지분을 요구할 경우 비핵화 협상이 훨씬 복잡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종전선언 협상 과정 또는 그 이후 북한이 유엔사 해체, 주한미군 철수를 공식적으로 꺼내 들어 의제화하는 것도 변수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주한미군 감축과 관련해 “정상회담의 논의 대상이 아니다”고 밝혔지만 북·미 간 종전선언 논의는 결국 주한미군 문제까지 논의할 계기를 만드는 효과도 있다.
하노이=정용수·전수진 기자 nkys@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