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서울 청와대 앞에서 대학 강사 단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대학에서 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벌어지는 해고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강사 대량해고 중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1/31/e642e55e-9ac5-411c-963e-e76b334a85cb.jpg)
24일 오전 서울 청와대 앞에서 대학 강사 단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대학에서 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벌어지는 해고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강사 대량해고 중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강사법(고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 8월 시행을 앞두고 대학가에선 시간강사를 줄이기 위한 갖가지 방법이 추진되고 있다. 강사를 교원으로 인정하고 방학 중 임금 지급을 의무화한 개정 강사법으로 늘어나는 비용을 줄이려는 것이다.
그러자 교육부가 대학의 강사 줄이기를 막기 위한 보완책을 내놨다. 교육부는 31일 대학 시간강사 처우 개선과 관련된 강사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개정안에는 강사의 강의 시간에 제한을 두는 규정이 신설됐다. 강사 강의시간을 매주 6시간 이하를 원칙으로 하며 특별한 경우 9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못박았다. 현행 법령에는 강사의 강의 시간에 대한 규정은 없고 교원의 경우 9시간을 원칙으로 한다는 규정만 있었는데, 강의 시간 상한선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는 일부 대학에서 비용 절감을 위해 일부 강사에게 강의를 몰아주려는 움직임을 막기 위한 조치다.
![부산대학교 한국비정규교수노조 부산대분회 소속 시간강사들이 강사법 시행을 위한 추가 예산 확보를 요구하는 집회를 벌이고 있다. 앞서 부산대는 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강사 구조조정 계획을 세웠다가 강사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철회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1/31/5d7cb11b-8102-4a70-be08-16beddaa6de3.jpg)
부산대학교 한국비정규교수노조 부산대분회 소속 시간강사들이 강사법 시행을 위한 추가 예산 확보를 요구하는 집회를 벌이고 있다. 앞서 부산대는 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강사 구조조정 계획을 세웠다가 강사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철회했다. [뉴스1]
대학으로서는 별도의 직장을 가진 겸임교수를 채용하는 것이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퇴직금이나 4대 보험료, 방학중 임금 부담이 시간강사보다 적기 때문이다. 때문에 일부 대학에서는 시간강사에게 다른 기관에 취직한 다음 겸임교수로 계약하자는 요구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시행령 개정안에서 겸임교수가 이론 과목을 맡지 못하게 하는 등 규제가 강화되면서 제약이 생겼다.
대학 "지원은 부족한데 압박만 강해져"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오른쪽)이 2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201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 참석해 인사말하고 있다. 이날 총회에 참석한 총장들은 재정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정부의 재정지원을 촉구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1/31/241e013a-cc43-4de6-9f6a-01b823d49c70.jpg)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오른쪽)이 2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201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 참석해 인사말하고 있다. 이날 총회에 참석한 총장들은 재정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정부의 재정지원을 촉구했다. [뉴스1]
이날 총회에 참석했던 수도권의 한 대학 총장은 "10여년간 등록금을 동결하면서 재정난에 빠진 대학에 마땅한 지원책은 없으면서 엄포를 놓는 것으로 들렸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시간 강사 처우 개선 예산으로 올해 288억원(반년치)을 확보했고 내년에는 1년치 약 580억원을 확보할 방침이다. 그러나 대학에서는 최소 2000억의 재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남윤서 기자 nam.yoonseo1@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