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희의 컨템포러리] 윤영호 건강학회이사장 인터뷰
환경 때문에 위협 받는 사회적 건강
의료 아닌 제도적 장치로 해결해야
병들면 교육·자유 등 기본권도 제약
저소득층 식생활·운동 지원 늘려
건강 평등 구현하는 제도 마련 시급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1812/15/da94ea77-ecec-4f7a-9b34-9e6291f97960.jpg)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은 상식적인 얘기 아닌가
- '건강 격차'란 왠지 개인의 문제로 보이는데 이게 사회적 문제라는 뜻인가.
- 건강도 의료가 아닌 사회적 장치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얘기로 들린다.
- 하나씩 얘기해 보자. '건강권'이란 무엇인가.
- 건강권을 헌법의 기본권으로 명시하는 게 필요하다는 말인가.
- 건강의 4대 요소 중 사회적·영적 건강의 의미가 잘 들어오지 않는다.
- 건강평등사회와 건강민주화는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가.
- 이상적인 건강민주화 사회로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양선희 대기자/중앙콘텐트랩 sunny@joongang.co.kr
호스피스·연명의료법 이끈 윤 이사장, 이젠 건강민주화 운동
윤영호 교수는 올해 발효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을 끌어낸 주축 인사 중 한 명으로, 의료·보건·건강 관련 정책 운동을 가장 맹렬하게 벌이는 의료인으로 유명하다. 그는 의대 재학 시절부터 호스피스에 몰입해 있는 학생이었다. 중학생 때 누나가 24살의 나이에 위암으로 사망하면서 의사가 되기로 결심했고, 학생 시절 말기 위암 환자를 돌보면서 호스피스에 전념하기로 결심했다는 것이다.
1998년 7명의 의료인이 호스피스학회를 만들고 막내 간사 역할을 하면서 불필요한 연명의료 중단과 연명 대신 통증을 관리해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자는 주장을 제기했다. 당시로선 파격적이었다. 언론으로부터 '소극적 안락사'주장이라는 공격을 받았다. 결국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 "아무리 좋은 뜻도 사회가 준비돼 있지 않으면 변화를 일으킬 수 없다는 걸 깨달았죠."
그는 방법을 바꿨다. 호스피스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국민의식 여론 조사를 벌였고, 사회단체와 정치인들을 통해 여론을 조성하고 입법화하고 정책화하는 사회적 연대를 시작했다. 그러던 중 2008년 김할머니 사건으로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사회적 의론이 분분해지면서 연명의료중단법이 발의됐고, 여기에 그는 호스피스 관련법을 함께 연계토록 하는 활동을 통해 결국 올해 법을 발효시켰다.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려면 20년은 걸려야 하고, 정치·언론·시민사회 각 분야가 같은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건강민주화 운동도 최소 10년은 걸려야 사회가 귀를 기울이게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가 건강민주화 운동을 시작한 것은 2013년 서울대학병원에 그의 주도로 정책실을 만들면서부터다. 이제 5년 됐다. 그 사이 건강문화운동을 벌이자고 문화관광체육부에 제안해 3년 계획으로 현재 한국 건강문화의 수준을 평가하는 평가도구를 만드는 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장관이 바뀌면서 1년 만에 중단됐다. 이후 지금까지 혼자서 평가도구를 개발했고, 대학 내에 융합과제로 제출해 여러 단과대학과 함께 건강에 대한 컨셉트를 만들고, 올해 걱강학회를 창립하는 등 분투하고 있는 중이다.
양선희 대기자/중앙콘텐트랩
1998년 7명의 의료인이 호스피스학회를 만들고 막내 간사 역할을 하면서 불필요한 연명의료 중단과 연명 대신 통증을 관리해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자는 주장을 제기했다. 당시로선 파격적이었다. 언론으로부터 '소극적 안락사'주장이라는 공격을 받았다. 결국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 "아무리 좋은 뜻도 사회가 준비돼 있지 않으면 변화를 일으킬 수 없다는 걸 깨달았죠."
그는 방법을 바꿨다. 호스피스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국민의식 여론 조사를 벌였고, 사회단체와 정치인들을 통해 여론을 조성하고 입법화하고 정책화하는 사회적 연대를 시작했다. 그러던 중 2008년 김할머니 사건으로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사회적 의론이 분분해지면서 연명의료중단법이 발의됐고, 여기에 그는 호스피스 관련법을 함께 연계토록 하는 활동을 통해 결국 올해 법을 발효시켰다.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려면 20년은 걸려야 하고, 정치·언론·시민사회 각 분야가 같은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건강민주화 운동도 최소 10년은 걸려야 사회가 귀를 기울이게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가 건강민주화 운동을 시작한 것은 2013년 서울대학병원에 그의 주도로 정책실을 만들면서부터다. 이제 5년 됐다. 그 사이 건강문화운동을 벌이자고 문화관광체육부에 제안해 3년 계획으로 현재 한국 건강문화의 수준을 평가하는 평가도구를 만드는 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장관이 바뀌면서 1년 만에 중단됐다. 이후 지금까지 혼자서 평가도구를 개발했고, 대학 내에 융합과제로 제출해 여러 단과대학과 함께 건강에 대한 컨셉트를 만들고, 올해 걱강학회를 창립하는 등 분투하고 있는 중이다.
양선희 대기자/중앙콘텐트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