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 등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8/d203288c-4dae-4b7b-9b72-af2a59ed15fb.jpg)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 등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연동형 비례대표제란=비례대표를 이용해 정당 득표율과 의석수를 맞춰주는 제도다. 예컨대 총 의석수가 100석인 상황에서 A정당이 정당득표율로 30%을 얻었다면 A정당의 지역구 당선자 수와 상관없이 무조건 30석을 얻게 된다. 지역구 당선자가 1명이면 나머진 29명을 비례대표로 채워준다는 것이다. 현행 선거제도에선 정당 득표율과 의석수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왜 도입하자고 하나= 도입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민심 그대로 선거제도’를 구호로 내세우고 있다. 20대 총선만 보면 민주당은 27.5%의 표를 받았지만 의석은 42.5%(123석)을 얻었고, 반면 정의당은 7.7%의 표를 받았지만 의석은 2%(6석) 밖에 얻지 못했다. 이 때문에 과도한 사표 발생이 문제가 된다. 지난 총선에서 발생한 사표는 1225만표로, 전체 투표수(2436만756표)의 50.3%였다.
왜 군소 3당이 총대메나=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은 생존이 달렸다. 다음 총선까지 현재 정당구도와 지지율이 유지될 경우, 두 당 모두 지역구에서 당선자가 나올 가능성이 적다. 비례대표로도 바른미래당은 3~4석, 민주평화당은 0~1석만 확보 가능하다. 정의당은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 원내교섭단체(20석 이상)가 될 가능성이 크다. 올해 6ㆍ13 지방선거 정당 득표율을 기준으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시 의석을 계산하면 정의당은 26석을 얻게 된다.
![20대 총선 정당별 결과. 현행 선거제도 하에서는 지역 패권정당의 고착화 등이 문제이 제기된다. 20대 총선에서는 영남 지역은 자유한국당, 호남 지역은 민주당에서 분당한 국민의당이 지역구 의석을 확보했다. [위키피디아]](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8/fc4f962f-22c1-4927-8083-b131297e140b.jpg)
20대 총선 정당별 결과. 현행 선거제도 하에서는 지역 패권정당의 고착화 등이 문제이 제기된다. 20대 총선에서는 영남 지역은 자유한국당, 호남 지역은 민주당에서 분당한 국민의당이 지역구 의석을 확보했다. [위키피디아]
민주당ㆍ한국당은 왜 반대하나=민주당과 한국당은 현행 선거제도가 유지될 경우 정당득표율 보다 많은 의석을 확보할 수 있다. 국회의원 선거와 같은 제도로 치뤄지는 지방선거만 봐도 그렇다. 민주당은 이번 서울시의회 선거에서 득표율로는 50.9%였지만 의석은 92.7%(110석 중 102석)를 차지했다. 한국당도 대구시의회 선거에서 46.1%의 표를 얻었지만, 의석은 30석 중 25석(83.3%)를 얻었다. 특히 민주당 입장에선 현재의 지지율 수준을 유지할 경우 2020년 총선때 과반 의석 확보를 기대할 수 있지만,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 과반 의석 확보가 굉장히 어려워진다. 이는 문재인 정부 후반부의 운명과 직결된 사안이기 때문에 민주당이 양보하기 어렵다.
문재인 대통령도 공약했나=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비례대표 후보를 서울ㆍ경기ㆍ영남ㆍ호남 등 각 권역별로 배정한 후 각 권역별 정당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한 방식이다. 이 때문에 민주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자 바른미래당ㆍ평화당ㆍ정의당에서는 “대통령 공약 파기”라고 비판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집. 정치ㆍ선거제도 개혁방안으로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도입을 공약했다.
연동형의 아킬레스건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의 관건은 국회의원 정수 확대다. 서울대 강원택 정치학 교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원활히 작동하려면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이 최소한 2:1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물론 지역구 의원을 줄이고 비례대표 의원을 늘려 2:1로 맞출 수 있지만, 이는 지역구 의원들의 반발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비례대표 의원 수를 늘려 전체 의원수를 360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갤럽이 이달 20~22일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해 의원수를 늘리는데 응답자의 57%가 반대했다. 한국당도 이같은 점을 들어 국회의원 수를 늘리는 것에 반대 입장이다.
국회 논의는 어떻게 되나=선거제도 개혁 방안 논의하는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민주당(8명), 한국당(6명),바른미래당(2명) 비교섭단체(2명)으로 구성됐다. 민주당·한국당이 반대할 경우 합의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바른미래당 등 3당은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대표들 간의 담판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 3당은 선거구 획정 시한(내년 4월15일)을 감안하면 선거제 개편의 마지노선은 내년 2월로 보고 있다.
![동·서독 통일 한 달 전인 1990년 9월 4일 평화광장에서 헬무트 콜 총리가 동독 군중에 둘러싸여 환영받고 있다. [AF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8/6ad65c5c-5cca-444c-b3e8-7aaf8f85200b.jpg)
동·서독 통일 한 달 전인 1990년 9월 4일 평화광장에서 헬무트 콜 총리가 동독 군중에 둘러싸여 환영받고 있다. [AFP=연합뉴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필연적으로 다당제가 되기 마련인데 이게 대통령제와는 맞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통령제와 연동형 비례제를 함께 도입한 국가는 볼리비아 정도다. 경북대 강우진 교수는 지난 14일 정개특위 공청회에서 “지금 대통령제를 바꿀 수 없다면, 현실적으로 (연동형 비례제는)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래서 결론은?=기득권을 쥔 메이저 정당들의 반대와 의원정수 확대에 대한 국민적 반감 등을 고려하면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