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여야 5당 원내대표와 문희상 국회의장이 서울교통공사 고용세습 의혹 등 공공기관 채용 비리에 관한 국정조사에 합의했다.[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2/ec26c408-6a80-4d22-ba8c-f0fe8f6e379a.jpg)
21일 여야 5당 원내대표와 문희상 국회의장이 서울교통공사 고용세습 의혹 등 공공기관 채용 비리에 관한 국정조사에 합의했다.[중앙포토]
무엇이 문제가 됐나
본지 보도로 서울교통공사 의혹 처음 알려져
인사처장 부인 등 명단 누락자 등장
직원·사외이사 증언으로 의혹 확산
젊은층, 비판 대자보 붙이며 분노 폭발
정부, 전수조사 벌이고 생활적폐 규정
본지 공정채용 TF팀 꾸려 전방위 취재

중앙일보는 10월16일자 1면에 서울교통공사 고용세습 의혹을 단독 보도했다.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2/724953b8-404b-43bb-886c-ca87ee2ba666.jpg)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중앙포토]
![한전KPS가 21일 장석춘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친인척 채용 현황 자료. 직원 자녀 11명이 비정규직으로 입사했다 올해 정규직으로 전환됐다.[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2/bab68a13-c8eb-43db-963e-671582118c7f.jpg)
한전KPS가 21일 장석춘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친인척 채용 현황 자료. 직원 자녀 11명이 비정규직으로 입사했다 올해 정규직으로 전환됐다.[중앙포토]
의혹이 커진 순간들
본지 보도 이튿날인 지난달 17일, 교통공사 인사처장이 부인의 이름을 정규직 전환자 명단에서 고의로 뺀 사실이 드러났다. 교통공사는 그를 직위해제했고, 서울시는 교통공사에 대한 감사를 감사원에 청구했다. 지난달 국회 국정감사에서 교통공사 고용세습 의혹은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오른쪽)이 18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 참석해 박원순 서울시장 옆으로 자리를 이동하고 있다.[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2/bb5f5e54-32f1-4bf1-8f17-fa5ca449791d.jpg)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오른쪽)이 18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 참석해 박원순 서울시장 옆으로 자리를 이동하고 있다.[중앙포토]
![김용태 자유한국당 사무총장이 교통공사 직원 가족 정규진 전환자 108명 명단을 공개하고 있다.[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2/3435c7fa-0336-4119-afce-942d96d96ae4.jpg)
김용태 자유한국당 사무총장이 교통공사 직원 가족 정규진 전환자 108명 명단을 공개하고 있다.[중앙포토]
박윤배 전 교통공사 사외이사는 지난달 24일 열린 이사회에서 진상 조사를 요구했다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다음 날 공사 측에 사표를 내기도 했다. 감사원 감사를 하루 앞둔 지난 4일 교통공사는 사내 게시판을 폐쇄했다가 논란이 일자 이틀 만에 다시 열었다.

박윤배 전 서울교통공사 사외이사.

서울교통공사는 감사원 감사를 하루 앞둔 지난 4일 사내 게시판을 잠정 폐쇄했다가 논란이 일자 이틀 만에 다시 열었다.
사회에 일으킨 파장
젊은층의 분노가 터져나왔다. 서울의 주요 대학들에는 교통공사 고용세습 의혹을 비판하는 대자보가 붙었다. 이를 ‘현대판 음서제’로 규정하거나, ‘친인척 고용비리를 강력히 규탄한다’는 내용이었다. 서울시청 앞에는 1인 시위가 이어졌고, ‘취업공부(한) 내가 바보’란 문구가 적힌 대자보가 붙었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유빽유직 무빽무직’(빽이 있어야 취업한다는 의미)이란 신조어까지 번졌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취업준비생들과 부모들이 채용 비리를 비판하는 수십 개의 글들을 올렸다.
![대학가에 붙은 서울교통공사 비판 대자보.[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2/34840689-2330-4100-99e7-02bd9653fc54.jpg)
대학가에 붙은 서울교통공사 비판 대자보.[중앙포토]
![문재인 대통령(오른쪽 두 번째)이 2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3차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2/8161ad1d-69b0-4dc1-9796-9aa54a68a1fe.jpg)
문재인 대통령(오른쪽 두 번째)이 2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3차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의원들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손피켓을 들고 고용세습 의혹 국정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2/cee944dd-1c25-4681-9d09-bff9f86dbe0b.jpg)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의원들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손피켓을 들고 고용세습 의혹 국정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어떻게 보도했나
‘직원 가족 정규직 전환자 명단 108명’. 중앙일보는 올해 국정감사를 앞두고 이 명단을 입수했다. 지난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교통공사 ‘채용 특혜’ 의혹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순간이었다. 이 명단은 교통공사가 지난 3월 조사해 유민봉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실에 제출한 것이었다. 중앙일보는 이 명단을 근거로 광범위한 취재를 이어갔다. 교통공사뿐 아니라 다른 공공기관과 공기업 채용 비리 전반에 관한 취재로 확장했다. 지난 21일 여야는 고용세습에 관한 국정조사에 합의했다. 국정조사는 올해 12월~내년 1월 중 실시 예정이다.
공공기관 고용세습 의혹 정부와 정치권 등 대책 일지
-10월 국정감사에서 뜨거운 이슈로 부상
-10월 17일 서울시, 감사원에 감사 청구
-10월 22일 야3당 국정조사 요구서 제출
-10월 31일 범정부 채용비리 근절 추진단 설치
-11월 5일 문재인 대통령, “드러난 (채용) 비리에 단호히 조치”
-11월 6일 전국 공공기관 1453곳 전수 조사 시작
-11월 18일 여야 채용 비리 국정조사 놓고 대치
-11월 20일, 범정부 생활적폐 9대 과제에 채용비리 규정
-11월 21일, 여야 공공기관 채용 비리 국정조사 합의
-10월 17일 서울시, 감사원에 감사 청구
-10월 22일 야3당 국정조사 요구서 제출
-10월 31일 범정부 채용비리 근절 추진단 설치
-11월 5일 문재인 대통령, “드러난 (채용) 비리에 단호히 조치”
-11월 6일 전국 공공기관 1453곳 전수 조사 시작
-11월 18일 여야 채용 비리 국정조사 놓고 대치
-11월 20일, 범정부 생활적폐 9대 과제에 채용비리 규정
-11월 21일, 여야 공공기관 채용 비리 국정조사 합의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