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통신망 통해 정면 비판
“검찰, 법원 우위 점하기 위한 수사 않길"
양승태 압수수색 영장은 또 기각
'원세훈 재판개입 의혹' 부장판사는 압수수색

이번 사건을 맡은 서울중앙지검 수사팀(팀장 한동훈 3차장)과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총 5명) 간 압수수색영장 기각을 놓고 문자 메시지 등으로 서로 ‘핑퐁 게임’을 벌인 적은 있지만, 현직 판사가 검찰을 성토한 건 처음 있는 일이다. 김 부장판사는 “‘검사는 불러서 조지고, 판사는 미뤄서 조진다’는 말이 있다”며 “혹여 이번 수사가 검찰 조직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법원에 대한 우위를 점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는 잘못된 목적의식 등에 따른 수사가 아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검찰, 법원 우위 점하기 위한 수사 않길"
![김태규 부산지법 부장판사가 지난 5일 부산지법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0/08/3d74fc9b-f7a9-4eb1-8e0f-143dcac476bd.jpg)
김태규 부산지법 부장판사가 지난 5일 부산지법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중앙포토]
검찰과 법원은 재판거래 의혹 수사를 놓고 서로 인해전술로 맞서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기존 특수 1ㆍ2ㆍ3ㆍ4부 인력(약 30명)뿐 아니라 방위사업수사부, 형사부 소속 인력까지 투입하며 법원의 영장 기각 움직임에 대응하고 있다. 대검 연구관(6명)까지 추가로 파견받은 상태다. 한 재경 지검 검사는 “재판거래 수사팀 인원이 검사만 70명 정도”라고 말했다. 법원 역시 사정이 다르지 않다. 지난달 검찰 출신의 명재권(51ㆍ27기) 부장판사를 영장전담재판부에 배치한 데 이어 지난 4일에는 임민성(47ㆍ28기) 부장판사를 추가로 영장 전담 판사로 선임했다.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판사가 5명까지 늘어난 일 역시 전례가 없다.
검찰-법원, 인해전술 전략으로 서로 맞서
다만 법원은 신현일(47ㆍ연수원 29기) 평택지원 부장판사의 사무실에 대해선 압수수색영장을 발부했다. 신 부장판사는 2013~2016년 대법원 재판연구관으로 근무하며 '원세훈 대선개입' 항소심 판결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 의혹을 받고 있다. 그는 수사 관련 자료를 임의제출해달라는 검찰의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