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서울본부 배전운용부 직원들이 서울 종로구의 한 주택가에서 변압기를 점검하고 있다. 주택가 인근의 변압기는 저주파 소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7/31/ff8dd91e-e856-4703-845c-9d987c03e467.jpg)
한전 서울본부 배전운용부 직원들이 서울 종로구의 한 주택가에서 변압기를 점검하고 있다. 주택가 인근의 변압기는 저주파 소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연합뉴스]
귀를 심하게 자극하지는 않지만, 진동처럼 느껴져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저주파 소음들이다.
저주파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인 20~2만㎐(헤르츠, 음파가 1초 동안에 진동하는 횟수)에서도 100㎐ 이하인 소리를 말한다.
선진국의 경우 특히 55세 이상 중·장년층에서 사이에서는 저주파 소음에 대한 불만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부는 이 같은 저주파 소음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최근 저주파 소음 관리 지침(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31일 밝혔다.
지금까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주로 중·고주파 대역(일반적으로 500㎐ 이상)을 중심으로 소음을 관리해왔으나, 앞으로 산업기계나 풍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대역의 소음에 대해서도 관리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경북 영양군 영양읍 양구리 일대의 풍력발전기.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저주파 소음 피해를 호소하기도 한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7/31/34c01efd-eb49-4387-8fc3-16d3e90abff7.jpg)
경북 영양군 영양읍 양구리 일대의 풍력발전기.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저주파 소음 피해를 호소하기도 한다. [연합뉴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소음 기준으로는 관리할 수 없는 저주파의 심리적·생리적 영향을 관리할 필요성이 생긴 것이다.
독일·덴마크·네덜란드 등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일본에서는 2004년부터 저주파 소음 관리를 위한 지침서를 마련했다.
대만의 경우는 2008년부터 아예 20~200㎐ 주파수 영역에서 기준을 초과할 경우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저주파인 12.5~80㎐ 구간에서 주파수별로 음압레벨, 즉 소음도(㏈,데시벨) 기준값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12.5㎐에서는 85㏈, 31.5㎐에서는 65㏈, 80㎐에서는 45㏈ 등이다.
![[자료 환경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7/31/f4c88479-52eb-4484-9e2c-19d457759ca8.jpg)
[자료 환경부]
이 기준은 실제 실험을 통해 피실험자들이 침실에서 잠을 청하려고 할 때 잠을 방해하는 소음도를 바탕으로 마련했다.
![서울 둔촌동 공장지대에서 소음도를 측정하는 모습.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7/31/9dca3eff-6736-447c-aa96-8c8761be14a1.jpg)
서울 둔촌동 공장지대에서 소음도를 측정하는 모습. [중앙포토]
저주파 소음 측정은 기존의 '소음·진동 공정시험 기준'에서 정한 생활소음 측정방법에 따라 피해가 우려되는 지점의 지면 위 1.2~1.5m 높이에서 측정한다.
2층 이상의 건물에서 소음 피해가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건물 벽에서 0.5~1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한다.
가이드라인 적용대상은 저주파 소음을 지속해서, 일정하게 내는 소음 원인 공장·사업장에 설치된 송풍기·공조기·발전기·변전기·집진기·펌프 등과 같은 대형 기계들이다. 풍력발전기도 포함이 된다.
![[자료 환경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7/31/0b7d58da-207a-48f8-b0a1-2a29b3c98ffb.jpg)
[자료 환경부]
![철도 소음 측정 장면. 철도에서도 저주파 소음이 발생하지만 환경부 관리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7/31/a23b0b8c-5bd3-4b53-b258-537eed37569a.jpg)
철도 소음 측정 장면. 철도에서도 저주파 소음이 발생하지만 환경부 관리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중앙포토]
지자체 담당자는 측정 결과와 소음 원인, 처리 결과 등을 환경부 장관에게 보고해야 한다.
환경부가 제시한 저주파 소음 저감 사례를 보면 ▶업소용 고압 변압기의 경우 변압기 주위에 소음 저감 박스를 설치하고 ▶통신기기 냉방용 송풍기 소음에 대해서는 흡음 매트를 부착하고 ▶병원 냉각탑 소음의 경우 노후 부품를 교체하는 방법으로 해결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