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여우락 페스티벌

‘안숙선의 지음(知音)’
지난해부터는 원일 전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이 지휘봉을 잡으면서 타장르와의 ‘이종교배’ 보다 우리 음악의 ‘자기 진화’에 포커싱하고 있다. 그는 “여우락에서만 볼 수 있는 공연을 만든다는 흐름이 중요하다”며 “작년 프로젝트 그룹이 음반도 내고 또 다른 공연도 하는 등 여우락이 한국음악의 중요한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자부했다.

솔리스트 앙상블 상상과 사운드스케이프 김 창훈의 ‘카르마 DMZ’
올해는 우리 음악의 3박자에 호응하는 ‘신(信)·신(新)·신(神)’을 키워드로 내걸었다. 대금을 중심으로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는 젊은 창작자 이아람을 음악감독으로 영입해 신선한 감각도 흡수했다.
믿고 보는 ‘신(信)’ 파트의 네 공연은 전통의 뿌리를 이어오는 명인급 연주자를 ‘소환’하는 무대다. 안숙선 명인이 아쟁· 대금 ·거문고· 가야금의 ‘지존’들과 함께 하는 시나위 ‘안숙선의 지음(知音)(13~14일 달오름극장)’은 1994년 초연 당시 “우리 음악의 진수를 보여줬다”고 극찬받았던 전설의 공연을 24년만에 부활시키는 자리. 한국적 신화와 설화를 현대적 음악감성으로 재창작해 큰 반향을 일으켰던 국악앙상블 ‘바람곶’이 6년만에 완전체로 뭉치는 ‘바리시나위(21~22일 달오름극장)’는 대표 레퍼토리 외에 신작도 2곡 준비해 화려한 귀환을 예고하고 있다.

킹스턴 루디스카와 연희패 유희의 ‘유희스카’
새롭고 실험적인 ‘신(新)’ 파트 네 공연은 우리 음악의 가능성 그 자체다. 음악감독 이아람과 솔리스트 8명이 전통기악곡 산조를 튜닝하는 ‘after 산조’(10일 달오름극장), 해외에서 열광적 반응을 얻고 있는 포스트 록 밴드 잠비나이의 미발표 신곡을 최초 공개하는 ‘정형과 비정형’(11일 하늘극장) 등이 눈에 띈다.
‘신명(神明)나다’ 파트는 장르간 경계를 허무는 ‘여우락표 콜라보’ 공연들이다. 에스닉 퓨전 밴드 ‘두번째 달’과 경기소리꾼 송소희의 ‘팔도유람’(7~8일 하늘극장)은 티켓 오픈 1주일만에 전석 매진됐다. 스카밴드 ‘킹스턴 루디스카’와 연희패 ‘유희’의 ‘유희스카’(20일 하늘극장)는 가장 신명나는 무대를 예고했다. ●
글 유주현 객원기자 yjjoo@joongang.co.kr 사진 국립극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