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 “지방선거 뒤 당 통합하자”
안 후보 “양보하면 재편 과정 역할”
바른미래당 호남의원들은 부정적
야권발 정계개편은 과거부터 꾸준히 제기돼왔다. 다만 한국당은 바른미래당의 흡수합병을, 바른미래당은 한국당 해체 후 일부 의원의 영입 등 양측의 방식이 달랐다. 지방선거 성적표에 따라 양당 공히 자신이 야권개편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현재 여론 조사상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고전이 이어지자 양측 모두 원점에서 재검토 중이다.
한국당은 일단 ‘반문재인, 보수통합’을 내걸고 움직이고 있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는 5일 “안 후보가 대승적 결단으로 양보해주면 지방선거 후 양당이 대동단결해 문재인 정권의 폭주를 막고 야권 대통합의 기폭제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무성 의원도 지난 3일 “지방선거가 끝나면 마음을 완전히 비우고 분열된 보수를 통합시키고 보수를 재건하겠다”고 했다.
바른미래당은 갈린다. 호남에 지역구를 둔 의원은 한국당과의 통합이나 연대에 강하게 부정적이다. 반면 유승민 대표는 “대통령 탄핵 이후에 갈라져 있던 야당이 새로운 보수, 개혁보수 중심으로 크게 뭉칠 수 있을지는 시간이 좀 걸릴 수 있는 문제”라면서도 “전국 다니면서 많은 국민 만나보면 이제는 보수가 합쳐야 한다고 하시는 분들은 매우 많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출신 바른미래당 의원은 “홍준표 대표 체제가 아닌 한국당과는 합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민주평화당과의 재결합을 생각하는 의원도 있다”며 “당내 상황 정리에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접점을 찾아간다면 더불어민주당도 강 건너 불 보듯 있을 순 없다. 한국당(113석)과 바른미래당(30석)이 통합할 경우 민주당(118석)을 누르고 원내 1당이 되기 때문이다. 이춘석 민주당 사무총장은 6일 라디오에 나와 “바른미래당과 한국당이 합해서 1당의 지위를 위협한다고 한다고 하면 저희도 나름대로 생각하는 안이 있다”고 말했다. 손금주·이용호 의원 등 민주당과 가까운 무소속 의원의 입당이나 민주평화당과의 통합이 거론된다.
한편 김문수-안철수 단일화는 6일을 넘기며 물리적 시간상 불가능해졌다는 관측이다. 7일 진행될 TV 토론, 8일 시작되는 사전투표 등을 고려하면 6일이 사실상 마감시한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양측은 “단일화가 싫으냐 하면 그런 것은 또 아니다”(김문수), “기회만 되면 (김 후보와) 못 만날 이유가 없다”(안철수)고 했다. 극적으로 둘의 단일화가 성사되면 야권통합도 가속을 낼 것이란 전망이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