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윤경희 기자 annie@joongang.co.kr 사진=우상조 기자 woo.sangjo@joongang.co.kr
문화·패션에 불던 ‘복고’ 이젠 맛집으로
복고 그릇·소품으로 '핫 플레이스' 유명세
1020에겐 새롭고, 3040에겐 향수 자극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 있는 '도산분식'.
밀레니얼 세대 유혹하는 '복고상권'
지난 3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 문을 연 ‘도산분식’은 세련된 인테리어의 주변 고급 식당들을 제치고 강남에서 가장 ‘핫’한 음식점으로 부상했다. 인기 비결은 ‘복고’다. 시간을 되돌려 놓은 것 같은 옛날식 간판과 인테리어는 물론. 음식을 담아낼 때는 1970~80년대 학교 앞 분식점에서나 봤던 초록색 점박이 플라스틱 접시를 이용하고, 지금은 단종된 델몬트 오렌지 주스병에 구수한 보리차를 담아준다. 이런 옛날식 풍경을 경험하기 위해 가게 문을 열기 1시간30분 전인 오전 10시부터 사람들은 길게 줄을 선다.

도산분식의 외부. 오래된 느낌의 낡은 나무 문에 '도산분식' '서울 뉴웨이브 분식'이라는 영문이 쓰여 있어 세련된 느낌을 준다. 오른쪽 사진은 비오는 날 입장을 기다리며 줄을 선 사람들.

도산분식의 내부 모습. 오래된 것처럼 보이는 가구와 보리차를 담아놓은 델몬트 주스병이 1980년대 대학교 앞 분식집을 떠올리게 한다.

가게 입구 옆에 고풍스러운 액자 모양의 창문을 만들어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만든 서울 익선동 '동백양과점'.

서울 종로구 익선동에 있는 프렌치 레스토랑 '빠리가옥'의 간판.

익선동 '서울커피'는 유리, 돌, 금속 소재를 사용해 오래된 한옥을 젊은 감각의 인테리어로 변화시켰다.
트렌드 분석가인 이향은 성신여대 교수(서비스디자인공학과)는 이런 문화현상을 새로움을 뜻하는 '뉴(new)'와 복고를 뜻하는 '레트로(retro)'를 합쳐 '뉴트로(new-tro)'란 말로 정의했다. 그는 "복고는 중장년층에겐 추억을 떠올리고 향수를 느끼게 해주지만, 20대 젊은 층엔 처음 접해 보는 신선하고 새로운 문화"라며 "특히 과거의 것을 그대로 차용하지 않고 새로운 감각을 더한 모습은 밀레니얼 세대에게 더 매력적으로 다가간다"고 설명했다.
자개장으로 인테리어, 추억의 상표 새긴 컵 수집해
익선동에서 가장 유명한 곳은 만둣집 ‘창화당’이다. 김이 모락모락 올라오는 만두를 소쿠리에 담아 꽃 그림이 새겨진 하얀 양철상에 낸다. 맛도 맛이지만 독특한 상차림 덕분에 지난해 3월 문을 연 직후부터 지금까지 1시간 이상 기다려야 자리에 앉을 수 있을 만큼 인기가 높다.

창화당의 만두와 떡볶이. 보라색 꽃 무늬가 새겨진 하얀 양철상이 정겹다.
복고 바람이 불면서 쓸모를 잃고 사라졌던 물건들이 '핫'한 물건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인 소품이 자개장이다. 오래된 엄마의 자개장은 자리만 차지하는 골칫덩어리로 여겨졌지만 최근 들어 '힙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지위가 격상됐다. 을지로에 있는 카페 ‘커피 한약방’은 자개장 인테리어로 유명해졌다. 40년대 지어진 낡은 건물도 볼거리이지만 자개장을 개조한 1층 음료 카운터와 장 문짝만 떼어내 병풍처럼 만든 2층 테이블 공간의 인기를 따라올 수 없다.

서울 중구 을지로2가에 있는 카페 '커피한약방' 2층. 오래된 자개장 문 4짝을 떼어 병풍처럼 벽에 붙여 만든 공간은 2030 여성들이 앞다퉈 사진을 찍는 장소로 유명하다.

익선동에 있는 '익동정육점' 역시 자개장을 이용해 벽과 내부를 꾸몄다.
쟁반에 다리를 붙여 놓은 듯한 조잡한 양철상, 오래된 브라운관 TV, 음료회사 로고가 큼직하게 새겨진 우유 냉장고 등 카페와 식당의 분위기를 살려주는 인테리어 소품들도 몸값이 뛰었다. 특히 ‘서주우유’ ‘크라운’ ‘펲시콜라’ 등 추억의 상표가 찍힌 80~90년대 로고컵은 없어서 못 구할 만큼 인기다. 인스타그램에는 #옛날컵(7247개) #로고컵(1439개) #코리안빈티지(569개)란 해시태그를 달아 올린 사진들이 넘쳐난다.
![서울 강북구 번동에 있는 카페 '칠복상회' 인스타그램 공식계정에 올라온 아이스 플랫 화이트 사진. 서주우유 로고컵에 담긴 모습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사진 칠복상회]](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5/30/5d0e8a96-fe17-477b-83b3-c709ef0d7e53.jpg)
서울 강북구 번동에 있는 카페 '칠복상회' 인스타그램 공식계정에 올라온 아이스 플랫 화이트 사진. 서주우유 로고컵에 담긴 모습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사진 칠복상회]
![오란씨 음료수 로고가 새겨진 빈티지 로고컵. 컬렉터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컵이다. [사진 퐁당상회]](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5/30/f77371d2-ba4c-450f-814f-d0036497c050.jpg)
오란씨 음료수 로고가 새겨진 빈티지 로고컵. 컬렉터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컵이다. [사진 퐁당상회]
![서울 망원동 카페 '오늘의 위로'에 있는 오래된 브라운관 TV. [사진 오늘의위로 인스타그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5/30/84542ec5-0de9-4b17-998d-5562eaca43d6.jpg)
서울 망원동 카페 '오늘의 위로'에 있는 오래된 브라운관 TV. [사진 오늘의위로 인스타그램]
이처럼 오래된 아날로그 추억을 느끼려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관련 제품 판매도 늘었다. 올해 1~4월 G마켓에서 ‘복고·레트로’가 제품명에 언급된 리빙용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63% 증가했다. 이진영 G마켓 리빙레저실 실장은 “홈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은 신혼부부와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식기와 그릇, 가전제품까지 복고풍 리빙용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신기하다” vs “촌스럽다”
외식업계와 주방·리빙용품에 부는 뉴트로 트렌드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어떨까. 강남인류가 지난 5월 23일 20~50대 성인 남녀 400명에게 직접 물어봤다. 조사는 SM C&C의 설문조사 플랫폼 ‘틸리언 프로(Tillion Pro)’를 통해 진행했다.
우선 응답자의 71.7%(287명)가 로고컵 등 복고풍 리빙용품과 복고 맛집에 대해 호감을 표시했다. '새롭다(35.2%)' '신기하다(32.0%)'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촌스럽다(5.5%)' '구식이다(5.7%)' 등의 의견도 존재했다.

서울 마포구 합정동에 있는 고기집 '행진'. 일부러 작게 만든 복고풍 간판을 달았다.
![서울 마포구 상수동의 차이니즈 바 '명성관'. 원래 있던 오래된 이발소의 간판과 외부를 그대로 살렸다. 오른쪽 사진은 개점 1주년을 맞아 지난해 12월에 열었던 스탠딩 파티 홍보 포스터다. 낡은 명성관의 모습을 단순화시켜 세련되게 표현했다. [사진 명성관 인스타그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5/30/eaaa75db-d098-40b5-9f6c-53dc99dd21e5.jpg)
서울 마포구 상수동의 차이니즈 바 '명성관'. 원래 있던 오래된 이발소의 간판과 외부를 그대로 살렸다. 오른쪽 사진은 개점 1주년을 맞아 지난해 12월에 열었던 스탠딩 파티 홍보 포스터다. 낡은 명성관의 모습을 단순화시켜 세련되게 표현했다. [사진 명성관 인스타그램]
실제로 현장에서 만나보니 젊은 층은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진화한 뉴트로가 온전한 옛것보다 받아들기가 쉽다는 반응이다. 익선동에서 만난 대학생 최윤주(23·송파구 잠실동)씨는 "처음 접해보는 디자인과 분위기가 신기하지만 드라마 등을 통해 한 번쯤 본 적 있는 것들이라 친근함도 든다"고 했다. 도산분식에서 만난 대학원생 방지윤(26·경기도 광명시)씨는 "네온사인과 영문으로 된 창문 레터링이 감각적이고 또 여느 분식집엔 없는 돈가스 샌드, 홍콩 토스트 같은 메뉴가 있어 흥미가 생겼다"고 말했다. 창화당에서 만난 50대 김화순(마포구 합정동)씨는 "어릴 때 기억이 떠올라 재미있지만 만약 낡고 지저분한 장소였다면 호감이 안 생겼을 것"이라고 했다.
책 『맥락을 팔아라』의 저자인 브랜딩 전문가 정지원 대표(제이앤브랜드)는 "지금 성공적인 카페·식당에서 보이는 뉴트로 문화의 특징은 공간과 소품 등 하드웨어만 옛 것일 뿐, 음식 메뉴나 서비스 방식 등의 소프트웨어는 최신"이라며 "기성세대에는 추억과 향수를, 젊은 세대에는 새로운 스토리와 감각을 충족시켜준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