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통과 어려운데 단독안 강행
주변선 “대선 때 한 약속 지킨 것”
야권 “성사 아닌 발의가 목적” 의심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1803/24/ac13907c-ec3b-4907-a4fe-bfb278899f1a.jpg)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야권을 중심으로 청와대의 개헌 주도가 “개헌 성사가 아닌 발의 자체를 목적으로 한 정략 아니냐”고 의심하는 까닭이다. 6·13 지방선거에서 야당을 개헌 반대 세력으로 몰려는 의도란 것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민의(民意)다” “대선 때, 지방선거와 함께 개헌 국민투표를 하겠다고 한 약속을 지킨 것”이라고 말한다. 민주당 중진은 “자유한국당이 요지부동인 상황에서 여야 합의안을 만들 때까지 기다릴 수 없었을 것”이라며 “야당이 개헌을 거부하고 있어 대통령 발의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의 의사 결정 스타일이라고도 설명한다. 문 대통령을 잘 아는 한 정치권 인사는 “대통령은 할 일이라고 여기면 ‘하자’고 결정한다. 의사결정 구조가 심플하다. 앞뒤로 재지 않는다”며 “남북 관계 등에서도 그런 면이 보이는데, 높은 지지율로 보아 그 스타일이 통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테니 개헌이라고 달리할 이유가 없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국회 사정까지 고려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일각에선 “통과되든, 안 되든 개헌 이슈를 이번에 털어버리려는 것”이란 해석도 있다.
박성훈 기자 park.seongh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