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레이트 지붕철거 작업.[사진 부산시]](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3/23/a00dd838-ea90-4eb6-965e-ce04d102c498.jpg)
슬레이트 지붕철거 작업.[사진 부산시]
부산시, 올해 예산 43억8200만원 지원키로
슬레이트 지붕 철거에 가구당 336만원 지원
취약계층은 지붕개량비 포함 350만원 지원
슬레이트는 대표적인 석면 고함량(10∼15%) 건축자재로 내구연한 30년이 지나면 석면이 비산(飛散,날아서 없어짐)하면서 석면폐증 유발 등 시민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
부산시는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슬레이트 철거 중·장기계획’을 마련해 노후 주택의 슬레이트 지붕 철거를 지원하고 있다.

부산시 슬레이트 지붕철거 안내문.
슬레이트 지붕 철거를 희망하는 가구는 구·군 환경위생(녹지)과에 신청서를 내면 된다.
박근철 부산시 기후대기과장은 “이번 사업이 시민피해 예방과 주거환경 개선, 폐슬레이트의 무단방치와 불법투기를 예방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와 석면 환경보건센터가 2009년부터 2016년까지 과거 석면공장 인근과 슬레이트 지붕 밀집지역 등 34개 지역주민 1만2134명을 대상으로 주민건강 영향을 조사한 결과 폐암 8명, 석면폐증 1~3급 113명 등 121명(조사주민의 0.9%)이 피해자로 나타났다. 석면 피해자로 인정받으면 석면피해구제법에 따라 요양 생활 수당과 치료실비, 장의비 등 구제급여를 받을 수 있다.

부산시 슬레이트 지붕 철거 안내문.
과거 대규모 공장에서 석면가공·제조가 이뤄지고 석면이 포함된 슬레이트 지붕이 대량 설치됐던 부산에선 잠복기를 고려할 경우 악성중피종 환자가 2010년부터 늘기 시작해 2045년 가장 많아질 것이라는 게 부산시 분석이다. 관련 문의는 부산시 기후대기과(051-888-3576)와석면 환경보건센터(양산부산대병원, 055-360-3771)로 하면 된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