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 기존 방통위 입장과 반대 의견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
앞서 방통위는 가짜뉴스를 판별할 역량이 있는 민간 기구를 방통위가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이들이 가짜뉴스로 판명한 게시물은 포털에 알려 ‘논란(disputed)’ 표시를 붙이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또 인터넷상 가짜뉴스에 광고 수익이 배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포털 약관을 바꾸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가짜뉴스 문제를 주도하고 있는 고삼석 방통위 상임위원은 지난 2일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통해 이런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대통령 직속 합의제 기구인 방통위는 위원장을 포함한 5명의 상임위원 중 2명을 대통령이, 1명을 여당이, 2명을 야당이 추천한다. 이효성 위원장과 고삼석 위원은 모두 문재인 대통령 추천을 받았다.
기존 방통위 발표를 뒤집는 입장에 대해 이효성 위원장은 “업무보고 당시 제가 검토를 좀 소홀히 한 것 같다” 며 “제가 이 자리에 있는 한 더 이상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가짜뉴스로 명예훼손이나 사생활 침해 등 피해를 입었을 때는 사법적 절차가 이미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위원장은 인터넷 포털 댓글에 대한 조작은 규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가짜뉴스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것은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겠다는 것이지 컴퓨터 매크로 조작까지 용인하겠다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기계를 통해 댓글 조작하는 것은 당연히 처벌의 범위에 드는 것이라 생각하고 그것을 법으로 명시하겠다는 법률 개정도 당연히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위원장의 이런 입장에 대해 고삼석 방통위 상임위원은 "기존 업무보고 내용을 손바닥 뒤집듯 바꿀 수 없고 재검토한 것도 아니니 여전히 유효하다"며 "방통위는 상임위원 5명의 합의제 기구인 만큼 상임위원들이 모여 다시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박수련·강나현 기자 park.suryo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