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죄 지으면 책임 묻는 게 당연하지만
보수정권만 뒤지니 보복이란 반발 불러
개헌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비극 끊어야
그러나 현재의 검찰 수사가 전 정권과 전전 정권의 일에만 먼지털기 식으로 집중돼 정치보복이란 논란을 만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당장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노무현 전 대통령 일가의 640만 달러 수수 의혹을 거론한 건 그런 맥락에서다. 검찰 수사가 진실 규명이 아닌 찬반 진영 간 정쟁으로 빠져들 경우 극심한 국론 분열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검찰이 전직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할 경우 이런 오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더욱 엄격하고 엄정해야 한다. 확실한 물증을 찾아내지 못한 상황에서 ‘정황에 가까운 단서’를 잡았다고 언론에 흘리는 식이라면 정치권은 공방으로 날을 지새울 수밖에 없다.
우리 헌정사엔 국민들로부터 박수를 받으며 퇴장한 대통령이 없다. 대통령이 임기 초에 독주하다 임기 말엔 예외 없이 나락으로 떨어지는 패턴이 반복되는 건 우리 정치 시스템에 결정적 하자가 있다는 걸 보여 주는 증거다. 언제까지 이런 비극을 반복할 것인가. 이제 헌법 개정으로 국가 운영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이 분명해졌다. 정치권은 이 기회에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줄일 수 있는 분권형 개헌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분발해야 한다. 정권 교체기마다 되풀이되는 이 불행의 사슬을 끊어 내는 것이야말로 국가 대혁신의 첫 번째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