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소득주도 성장이 수요 측면에서 성장을 이끄는 전략이라면, 공급측면에서 성장을 이끄는 전략이 혁신성장이라고 판단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이 경제의 '파이'를 키우는 데 있어 성장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동안 분배 우선 정책을 중시했던 문 대통령의 경제정책 방향이 수정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우리 정부의 경제 정책은 일자리와 소득주도 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라는 3개의 축으로 사람중심 경제가 이뤄진다”며 “그러나 혁신성장에 대해서는 개념이나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상대적으로 덜 제시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임명되지 못하는 등 혁신성장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그런 느낌이 든다”며 “경제 부처에서 보다 빠른 시일 내에 개념을 정립하고 종합적으로 보고하는 한편 속도감 있는 집행전략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혁신성장은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정부 경제정책의 한 축으로 강조해왔던 개념이기도 하다. 김 부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한 강연에서 “소득주도 성장만으로 우리 경제가 성장으로 간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소득주도 성장과 일자리 중심성장, 사람중심 성장을 합친 혁신성장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