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8월 인천 부평역 앞 광장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개구리 소년 찾기 대국민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24/56e877f2-d72c-4197-aece-68f03c884358.jpg)
1991년 8월 인천 부평역 앞 광장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개구리 소년 찾기 대국민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중앙포토]
![개구리소년 유골이 발견된 대구시 달서구 와룡산 현장에 화환이 놓여 소년들의 영혼을 위로하고있다.[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24/ba508930-05be-44c7-b001-13e0fab85945.jpg)
개구리소년 유골이 발견된 대구시 달서구 와룡산 현장에 화환이 놓여 소년들의 영혼을 위로하고있다.[중앙포토]
![개구리소년 사건과 관련한 경북대의대에서 열린 법의학감정보고회.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24/2943900e-c50b-4d38-8e74-0b5bab2e7008.jpg)
개구리소년 사건과 관련한 경북대의대에서 열린 법의학감정보고회. [중앙포토]
26일 대구 와룡산 유골발견 현장서 추모제
유족 등 참석해 진상규명위원회 설치 촉구
"최근 새 제보자 나타나 경찰 내사 중 전해져"
"개구리소년 사건 경찰 수사 은폐 의혹 있어"
"수사 자료 최근 정보공개 청구. 두차례 거부"
2002년 11년 만에 아이들의 유골을 발견한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미국의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아이들이 타살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범인은 끝내 붙잡지 못했다. 결국 2006년 3월 25일 공소시효가 완성됐고, 영구미제 사건으로 남았다.
개구리 소년의 유골이 발견된 지 꼭 15년이 되는 오는 26일 대구 와룡산 유골 발견 현장에서 추모제가 열린다. 개구리 소년 유족과 전국미아실종자가족찾기시민의모임(전미찾모), SNS시민동맹이 고인의 넋을 위로하고 사건의 진실규명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진상규명위원회' 설치를 촉구하는 자리다. 이들은 경찰 수사가 미흡했고, 사건의 진상이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당시 경찰청이 개구리소년 사건에 사용된 범행 도구를 찾기 위해 제작해 배포한 유인물.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24/ff9c421a-0a5f-4803-abab-52740f0ee2ff.jpg)
당시 경찰청이 개구리소년 사건에 사용된 범행 도구를 찾기 위해 제작해 배포한 유인물. [중앙포토]
유족 등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당시 경찰이 곡괭이와 삽으로 아이들의 유골 발굴 현장을 훼손했다. 유골 4구를 파헤쳐 놓았고, 유골 1구만 감식반이 와서 조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유골 발견 이틀 만에 사인을 저체온증에 의한 자연사로 추정했지만 결국 경북대 법의학팀은 검사 40여일 후에 타살로 결론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실제 경북대 법의학 팀은 "두개골에 나타난 손상 흔적을 분석한 결과 소년들은 'ㄷ'자 모양의 예리한 흉기와 발사체로 타살된 것 같다"고 발표했다. 경찰의 사인이 오락가락 했다는 의미다.
![대구 실종어린이(개구리 소년) 5명의 부모들이 전국에 배포한 어린이 찾기 전단을 앞에 놓고 40일째 돌아오지 않는 이들을 위한 궁리를 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24/3beedbeb-d0c6-4a51-bf7c-78d7884c4f7a.jpg)
대구 실종어린이(개구리 소년) 5명의 부모들이 전국에 배포한 어린이 찾기 전단을 앞에 놓고 40일째 돌아오지 않는 이들을 위한 궁리를 하고 있다. [중앙포토]
경찰이 이들에게 밝힌 기각 사유는 크게 세가지다.
정보공개 청구 게시판을 통해 경찰은 "①개구리 소년 사건 관련 제보(서울 거주자)가 있어 내사가 진행 중이고, ②개인정보와 수사기밀 정보를 분리하기 어렵다. ③정보 공개 시 불상의 범인이 도피하거나 증거를 인멸할 우려 등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전했다.
나주봉 전미찾모 회장은 "최근 개구리 소년 중 한명인 우철원 군의 초등학교 때 친구라는 사람이 실종 되기 전 어떤 사람에게 위협을 당한 적이 있다는 제보를 해 경찰에 그걸 내사 중인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경북대 의대 해부학교실에서 유가족들과 취재진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수사관계자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24/a5d6153c-2e83-4d76-9650-8c3bf65eba0e.jpg)
경북대 의대 해부학교실에서 유가족들과 취재진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수사관계자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
대구=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